[데일리메디 김민수 기자] 전 세계 의료기기 시장을 호령하는 국가는 단연 미국이다. 워낙 내수시장도 크지만, 미국 식품의약국(FDA)가 설정하는 인허가 기준이 대부분 글로벌 지표로 자리매김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국내 의료기기 업체가 미국 시장 진출을 망설이는 경우가 흔하다. 진입 장벽이 까다로울 것이라는 선입견이 크게 작용하고 있다.
이 같은 국내 의료기기 업체의 고민을 해소하기 위해 글로벌 의료기기 사업화 전문가 데니스 맥윌리엄스가 최근 사이넥스(대표 김영) 초청으로 한국을 방문했다.
지난 14일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된 2019 국제의료기기&병원설비전시회(KIMES) 현장에서 데일리메디와 만난 그는 국내 업체들을 대상으로 아낌없는 조언을 건넸다.
사이넥스 김영 대표는 “Apollo Endosurgery 창업자인 데니스 맥윌리엄스는 US 510K, US PMA, CE, ANVISA, TGA 등 다양한 국제인증을 통해 신규 시장 발굴 및 전략 수립을 성공적으로 이끌며 세계적인 명성을 얻고 있다”고 소개했다.
데니스 맥윌리엄스[사진]는 우선 유럽 CE인증보다 미국 FDA인증이 훨씬 더 절차가 간소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는 “FDA인증은 예측성, 명확성, 합리성 3가지 관점에서 인허가 절차가 진행되므로 업계의 시각을 존중하는 경향이 강하다”며 “간결하면서도 공신력 있는 기준을 확보할 수 있다는 부분이 FDA인증을 획득했을 때 업체가 취할 수 있는 최대 강점”이라고 전했다.
실제로 국내 의료기기 업계는 우리나라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인허가 절차에 대해 미래를 예측할 수 없고, 기준 자체가 시시각각 변동되기 때문에 시간적·비용적 낭비가 심하다는 불만을 토로해왔다.
데니스 맥윌리엄스는 “우수 의료기기를 최대한 빨리 임상 현장에 투입해 환자를 돕고 싶다는 생각은 업계와 정부가 가진 공통된 의견일 것”이라며 “한국 정부와 업계의 갈등은 앞서 말한 예측성, 명확성, 합리성에 초점을 맞춘다면 충분히 조율이 가능할 것으로 본다”고 내다봤다.
데니스 맥윌리엄스는 한국 업계의 잠재력에 대해 엄지손가락을 치켜세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