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메디 양보혜기자] "우리에게 맞는 고혈압 진료지침 개발을 위해 임기 내 힘쓸 계획이다. 진료지침준비위원회를 상시 체제로 가동해 작년에 개정된 내용을 모니터링하고, 새로운 내용을 보완해 나갈 것이다."
지난 6월 대한고혈압학회 신임 이사장으로 취임한 편욱범 이대서울병원 원장[사진]은 11월8일 서울 콘래드호텔에서 열린 대한고혈압학회 국제추계학술대회 'Hypertension Seoul 2019'에서 이 같은 포부와 계획을 밝혔다.
이번 학술대회에는 총 315편(국내 55편, 해외 260편)의 초록이 제출됐으며, 미국, 일본, 중국 등 14개 국가 고혈압 전문가들이 참석했다.
고혈압에 관한 진단, 치료법 등 최신 지견이 공유되며, 국내외 타 학회와 연계 심포지엄도 마련됐다. 인도네시아 고혈압학회와 'KSH-INASH 조인트 심포지엄', 한국영향학회(KNS)와도 조인트 심포지엄을 진행한다.
편욱범 이사장은 "그동안 학회는 고혈압 인지율을 1994년 25%에서 2018년 65%까지 끌어올리며, 조절률도 7%에서 44%까지 향상시켰다"며 "고혈압 조절이 잘 되는 이유는 대국민 홍보, 의사 교육, 진료지침 개정 등을 위해 힘써왔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고혈압 사각지대 젊은층, 30세 이상 성인 중 28% 유병자 등 관리 필요"
"타 학회는 물론 환자단체 등 유관기관과 협력체계 구축"
이어 "그러나 여전히 사각지대는 존재하는데 그중 하나가 젊은 계층"이라며 "우리나라 30세 이상 성인의 28%가 고혈압 유병자인데, 이 사실은 인지하지 못하는 사람이 대다수다. 자연히 조절이나 치료를 받는 시기도 늦어져 문제"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