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 애가 초등학교 5학년 때 잠시 고민에 빠진 적이 있다. 중학교 입학 관련 이사 문제 때문이었다. 강남 등을 생각하다가 인근 괜찮은 중학교 쪽으로 긴급 유턴했다. 여기에는 꼼수가 전제됐다. 바로 위장전입이었다.
가까운 지인이 흔쾌히 받아주시겠다고 해서 준비를 하다가 중단했다. 그렇게까지 해야 하는 자괴감 등 왠지 찝찝했다. 와이프랑 논의해서 없던 일로 하고 현 거주지로 이사했다. 당시에는 아쉬움이 컸지만 지금 생각해보면 아이들도 잘 적응했고 괜찮은 결정이었다.
근래 새 장관 및 헌법재판관 인사청문회를 보면서 위장전입이 화두가 됐다. 특히 9월11일 열린 이은애 헌법재판관 후보자 인사청문회에서 8차례의 위장전입은 ‘사회적 공분(公憤)’을 불러일으켰다. 그럼에도 그는 문재인 대통령 평양 방문 보도 등에 묻혀 슬그머니 임명됐다.
하지만 고위공직자 5대 인사원칙 배제를 떠나 과연 그가 준엄한 9인의 헌법재판관 자리에 앉을 자격이 있는지 강한 의구심이 들었다. 법의 최고 심판을 내릴 사람이 불법인 위장전입을 8차례나 하면서도 청문회에 나선 그의 뻔뻔함과 내로남불이 현 사법부 불신과 직결된다.
위장전입 사유가 구체적으로 알려지지는 않았고 가정사로 얼버무려졌다. 아들 공부 등이 언급되는걸 보면 그도 자식의 진학 때문에 불법적인 ‘위장전입’ 멍에를 썼던 것으로 보인다. 이런 경향은 예전에는 교육열, 맹모삼천지교 사례 등으로 긍정적 시각이 우세했다. 하지만 이젠 교육병, 교육망국을 초래한 원인으로 지목된다.
대한민국이 오마바 前 미국 대통령도 극찬한 교육때문에 전세계적으로 유례없는 최단기간 압축성장과 민주화 등을 이뤘으나 부작용이 만만치 않다. 급기야 국운(國運)을 뒤흔들 수 있는 악성 바이러스의 숙주가 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공교육 붕괴와 사교육 과열로 초래된 집값 폭등, 저출산 등 각종 망국론 근원에 바로 잘못된 교육 현실이 똬리를 틀고 있다.
국민들 행복감 역시 교육열에 반비례하다. 교육이 과거처럼 신분상승 사다리가 아닌 신분사회를 고착화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근래에는 금수저, 흙수저 등 계급론까지 번졌다. 일각에서는 우리 교육이 승자의 길을 제시하는 것이 아닌 루저, 소위 패배자를 양산하는 시스템으로 전락했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교육의 본연적 기능인 지(智), 덕(德), 체(體)를 포함한 전인교육과 인성(人性) 함양, 타인과 공감하고 배려하는 품성은 뒷전으로 밀렸다.
예전에 인기를 얻었던 ‘행복은 성적순이 아니잖아요’란 영화가 있었다. 사회가 얼마나 성적에 목메면 이런 영화까지 제작됐을까 아이러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