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메디 양보혜 기자] 유한양행이 개발 중인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레이저티닙'이 시장을 선점하고 있는 타그리소(성분명 오시머티닙)의 대항마가 될 수 있을지 의학계와 제약업계의 이목이 집중된다.
최근 미국임상종양학회(ASCO)에서 레이저티닙(임상 코드명 YH25448) 임상 1상 결과와 2상 중간결과를 발표했던 조병철 연세의대 종양내과 교수[사진]는 14일 본지와의 통화에서 "타그리소와 경쟁구도를 형성할 수 있는 국산 신약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레이저티닙은 EGFR-TKI 치료제에 내성(EGFR 유전자 돌연변이)이 생긴 국소 진행 또는 전이성 비소세포폐암 환자를 타깃으로 한다.
조병철 교수는 "EGFR 유전자 돌연변이 폐암 환자가 전체의 40% 정도를 차지하지만, 타그리소 외에 치료제가 없다"며 "약가가 너무 비싸 유사한 약효를 가진 경쟁약물이 필요한데, 레이저티닙이 그 자리를 차지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비소세포폐암환자 증상 호전율 60% 넘었고 용량 늘리면 86%"
이번 임상시험에서는 레이저티닙의 효과와 안전성이 확인됐다.
기존 EGFR-TKI 제제에 대해 내성이 생긴 진행성 비소세포폐암 환자 105명을 대상으로 한 임상에서 레이저티닙으로 치료 받은 모든 환자의 객관적 반응률(ORR·이하 반응률)은 64%였다.
쉽게 말해, 환자 10명 중 6~7명은 상태가 호전됐다는 것을 의미한다. T790M 유전자 양성 환자군에서 반응률은 66%로, 음성 환자군 33%보다 두배정도 좋은 반응을 보였다.
용량을 240mg으로 높였을 때 반응률은 86%로 향상됐다. 용량을 늘려도 독성 부작용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뛰어난 내약성을 보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