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6세 여성인 A씨는 무릎관절염 때문에 심한 통증으로 고생하던 중 2년 전에 인공 무릎관절 수술을 받아야 했고, 다행히 수술 후 활동이 편해지고 수술 결과에 만족해했다.
어느 날 지방에 사는 61세 여동생이 언니와 같이 왔고, 그는 무릎 통증이 심하지는 않았지만 치료에 대해 의사마다 의견이 달랐다고 말했다.
몇몇 의사들이 인공관절 수술을 권했고, 기왕이면 언니가 수술한 병원을 가자고 해서 우리 병원을 방문했다는 것이다. 동생 무릎은 초기 관절염으로 진단됐다. 하지만 등산과 배드민턴을 즐기는 그에게 인공관절 수술이 최선의 선택은 아니었다.
과연 자매라고 관절염의 치료 방법이 동일해야 할까?
체중이 가해지지 않는 손목, 어깨, 손가락과는 달리 무릎은 평생 체중을 지지하고 있으며, 일상 생활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무릎관절은 골관절염에 매우 취약하다. 무릎골관절염은 주로 노화에 의해 관절이 약해지거나 비만, 또는 무리한 운동으로 인해 무릎 관절에 높은 하중이 걸리는 경우 연골이 소실되면서 생길 수 있다.
그 중 노화가 진행되면서 생기는 퇴행성 관절염은 중년 및 노년층에게 많이 발생하고, 우리나라에서는 여성에서 발병률이 높다. 퇴행성 관절염이 시작되면 염증 및 손상이 진행하면서 무릎관절 내 연골 손실이 가속화될 수 있기 때문에 관심을 가져야 할 질환 중 하나다.
퇴행성 관절염의 무릎 통증은 휴식을 취하면 증상이 호전되지만 관절염이 악화되면 쉴 때도 통증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무릎이 무겁거나 뻣뻣하게 느껴지고, 무릎을 구부렸다 펼 때 소리가 날 수도 있다.
관절을 둘러싼 막의 염증으로 관절 조직이 두꺼워지고 관절액이 증가하면 무릎이 부을 수도 있으며, 통증으로 인하여 근육의 약해지고 무릎을 완전히 펴지 못하거나 쪼그리고 앉기 힘들어지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