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월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역사적인 남북정상회담이 성공적으로 끝났다.
남북화해 및 통일에 대한 문대통령 의지는 익히 알려졌다. 하지만 은둔의 독재자이자 무자비한 피의 숙청을 자행한 30대 김위원장의 행보는 그야말로 파격이었다. 그의 결단으로 70여 년 이어진 남북한 대립의 종지부 가능성이 엿보였고 공동선언문에는 휴전 대신 종전 논의 내용이 담겼다.
이번 회담의 가장 중요한 의제인 한반도 비핵화를 실현시킬 전환점 역시 마련됐다. 섣부른 환상일 수 있지만 통일에 대한 기대감도 한껏 높아졌다.
그러나 남북정상과 북미정상회담이 진행되는 과정을 보면서 어딘가 께름칙한 구석이 드러나기 시작했다. 바로 중국이다.
북한 김정은 위원장이 3월부터 6월까지 석 달간 중국으로 달려가 칙사 대접을 받으며 시진핑 주석과 세차례 회담을 가졌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싱가포르 회담 전후로 긴급한 만남을 갖고 일종의 대책을 논의하는 모습도 관측됐다. 당사자인 우리는 문대통령이 김위원장과 두번 만났는데 중국 시진핑 주석과는 무려 세 번이나 만났다.
중국이 소원했던 북중관계를 다시 혈맹관계로 격상시키는 것은 물론 북한 후견국으로서의 지위를 다지기 위해 공을 들이고 있는 것이다. 미국과의 비핵화 과정에서 예상되는 중국 역할과 영향 등을 염두에 두고 김정은 위원장을 달래고 설득했다는 전언이다. ‘차이나 패싱’은 있을 수 없음을 분명히 했고 중국 참여와 동의 없이는 한반도 비핵화 등의 평화 정착이 불가능하다는 메시지를 한국과 미국에 보낸 것으로 파악된다. 사실 중국의 이런 행보는 앞으로 힘들게 조성된 북한 비핵화와 관련된 남북, 미북 대화를 어렵게 만들 수 있다.
최근 미국과 중국의 무역분쟁이 한층 격화되고 있다. 미국이 잇단 고율 관세를 부과하자 중국도 물러서지 않고 보복하는 모양새다. 이에 미국은 트럼프 대통령이 공개적으로 추가 보복할 것임을 천명하는 등 상황이 심상치 않다.
그러자 ‘고래 싸움에 새우등 터지는’ 격으로 우리나라가 비상이다. 반도체를 비롯해 전자부품, 기계류 소재 등이 중국으로 많이 수출되는 우리가 타격을 받을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한국산 부품을 사용한 중국산 제품이 경쟁력을 잃어 장기적으로는 한국 수출에 먹구름이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