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메디 양보혜 기자/수첩] 세계 각국이 코로나19 백신 및 치료제 개발에 뛰어들며 '총성 없는 전쟁' 중이다. 우리나라도 민관이 '이인삼각(二人三脚)'으로 이 대열에 합류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바이러스에 맞서는 우리의 싸움은 거대한 이인삼각 경기"라며 코로나 대응에 총력을 다할 것을 주문하면서, 백신 및 치료제 개발에 대한 재정적, 제도적 지원을 약속했다.
실제 백신 개발에 2100억원의 예산을 투입하고, 보건복지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을 공동단장으로 한 코로나19 치료제·백신개발 ‘범정부 지원단’을 꾸렸다.
제약·바이오업체들도 이 기회를 놓치지 않기 위해 너나 할 것 없이 코로나19 신약 개발에 열을 올리고 있다. 시험관 내 실험결과까지 성과로 포장해 홍보하는 업체들이 하나의 방증이다.
코로나19 종식을 위한 해법이 신약 개발이라는 점에 이견은 없다. 그러나 이것이 경주마처럼 국내 업체들을 해외 각국 및 다국적 제약사들과 비교해가며 속도전으로 밀어붙일 일인지 재고(再顧)해볼 필요가 있다.
그 이유는 크게 세 가지로 들 수 있다. 우선 '의약품'이란 재화의 특성 때문이다. 의약품은 자동차나 반도체와 달리 사람의 건강 및 목숨과 직결돼 있어 까다로운 허가와 심사제도를 거쳐 시판된다.
질병 치료에 효과가 있다고 여겨지는 후보물질이 발견되면 개발을 시작한다. 시험관 내 실험을 거쳐 동물과 사람에 후보물질을 투여하는 임상시험을 통해 엄격한 기준으로 유효성과 안전성을 점검한다.
여러 해에 걸친 스크리닝 과정이 필수로 실시되는 이유는 살기 위해 먹는 '약(藥)'이 생명을 해치는 '독(毒)'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 허가 받은 약이 시판 후 부작용 보고로 판매 중지 및 회수되는 사례가 비일비재한 실정이다.
코로나19로 잃어버린 건강을 되찾으려고 복용한 약이 속도 경쟁으로 검증을 소홀히 해서 오히려 더 많은 환자들이 위험에 빠질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 같은 접근법을 다시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
또한 '코로나19'가 RNA바이러스라는 측면도 걸린다. 인플루엔자, 에이즈, 에볼라, C형 간염, 사스(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등도 모두 RNA바이러스다.
이중 유일하게 인플루엔자(독감)만 백신이 개발됐지만, 70년이 소요됐다. 그러나 예방효과가 높지 않아 매년 맞아야 한다. 즉, RNA 바이러스가 내년 혹은 내후년을 목표로 정복될 수 있는 만만한 적수가 아니란 의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