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김용익)은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해 최근 5년 간(2013년~2017년) ‘편도염(J03,J35,J36)’ 진료현황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wys2/file_attach/2019/04/04/1554339326-18.jpg)
편도염 환자는 2013년 797만명에서 2017년 693만명으로 연평균 3.4% 감소했다. 남성은 359만명에서 311만명으로 연평균 3.5%(48만명) 줄었고 여성은 역시 438만명에서 382만명으로 연평균 3.4%(56만명) 감소세를 보였다.
![](/wys2/file_attach/2019/04/04/1554339343-84.jpg)
환자 수는 줄었지만 꾸준히 다빈도 상병 상위에 있으며 편도염 환자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급성편도염의 경우 2017년 다빈도 상병 4위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7년 연령대별 진료현황을 보면, 9세이하 환자의 비율이 전체 진료인원 중 21.2%를 차지해 다른 연령층에 비해 가장 많았고, 30대가 16.2%(1,126,584명), 10대 13.2%(916,632명) 순으로 나타났다.
![](/wys2/file_attach/2019/04/04/1554339360-19.jpg)
9세이하를 포함한 10대 이하의 진료인원은 약 238만 명으로 전체 34.4%를 차지하고 있으며, 30대 진료인원도 112만명으로 전체의 16.2%가 요양기관을 찾은 것으로 나타났다.
![](/wys2/file_attach/2019/04/04/1554339378-21.jpg)
2017년 편도염 환자의 월별 평균 진료인원 추이를 보면, 일교차가 커지는 환절기(3월~4월, 9월)에 진료인원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날씨가 추워지는 겨울로 갈수록 꾸준히 증가해 12월에 가장 많은 환자가 발생했다.
![](http://dailymedi.com/dmedi/img/nimg/logo.gif)
데일리메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