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日, 국가 차원서 '인공지능(AI) 의료기술' 활성화 논의
최종수정 2018.07.02 05:46 기사입력 2018.07.02 05:46 댓글쓰기
데일리메디 홈인물초대석
[데일리메디 한해진 기자]주요 선진국에서 인공지능(AI) 기반 의료기술 활성화를 위한 국가적 차원의 규제개혁을 논의함에 따라 국내서도 범정부적 차원의 논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의료계에 따르면 최근 미국과 일본 등 주요 국가들이 제도 장벽으로 인한 AI 기술 활용이 늦춰지는 것을 막기 위한 개혁 움직임을 시작하고 있다.
 
실제로 미국에서는 백악관이 직접 구글과 페이스북, 아마존 등 미국 주요기업 CEO 및 임원 100여 명과 함께 'AI 서밋'을 처음으로 개최했다.
 
이는 농업과 의료 등의 분야에서 AI 기술을 발전시키기 위한 규제 개혁과 정부-기업 간 공조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였다. IBM 등 IT 기업뿐만 아니라 GE와 화이자, 존슨앤드존슨 등 의료산업 분야 기업 관계자들과 보건복지부를 비롯한 정부 주처 관계자도 참여했다.
 
외신에 따르면 서밋에서는 AI 기술 지원을 위한 연방기금과 연구비 조성 방안이 논의됐다. 이미 영국에서는 AI 산업화 공동투자에 정부가 10억 파운드(한화 약 1조4000억 원)를 투입하기로 했으며 유럽연합도 15억 유로 가량(한화 1조9000억 원)을 지원하는 방안을 결정한 바 있다.
 
AI 기술 지원 및 규제 개혁에 백악관이 직접 나선 것은 무역 전쟁을 비롯한 중국과의 경쟁에서 선제적 조치에 따른 우위를 점하기 위한 것으로 분석된다. 최근 트럼프 대통령이 이를 위해 미 재무부에 중국의 대미 투자를 제한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라고 지시하기도 했다.
 
일본에서는 정부가 보다 직접적으로 AI를 활용한 의료기기의 최종 진단과 치료의 책임을 의사가 맡게 하도록 하는 등 관련 규정을 정비할 방침을 발표했다.
 
이렇게 책임 소재를 명확히 하는 것은 한편으로 의사가 주도적으로 AI 기반 의료장비를 사용할 수 있게끔 장려하기 위한 것으로 분석된다. AI 의료기기 사용에 따른 의료 분쟁에서의 혼란을 미리 방지해 개발이 적극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 AI 의료기기 활성화를 위해 안전성 평가지표 및 시판 후 성능 재평가 방법 등을 마련하기로 했다. 2019년까지 의사법 및 의료품관련법 규정을 명료화하고, 2021년 이후부터는 AI를 활용한 의약품 개발 및 AI 활용 간호보조기 시제품을 개발하려는 계획을 갖고 있다.
 
국내에서도 얼마 전 처음으로 AI 기반 의료 소프트웨어가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를 받았고, AI 의료기기 개발 가이드라인이 마련된 상태다.
 
또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서울아산병원 및 관련 기업들과 함께 한국형 의료 AI인 ‘닥터 앤서(Dr. Answer)’를 개발에 나서고 있지만 범부처적인 차원의 논의는 아직 부족하다.
 
이와 관련, 한국의료기기산업협회 4차산업혁명위원회 관계자는 “우리나라도 AI 및 빅데이터와 관련한 지원과 정책 마련 움직임이 부진한 것은 결코 아니나 청와대 등 범정부적인 차원의 논의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며 “그래야 산하 부처들도 보다 적극적인 정책 개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특히 AI 기술 활용에 있어 필수적인 빅데이터 산업 부분은 개인정보 유출의 위험으로 반대 여론이 갈리고 있기 때문에 사회적 합의를 모으기 위해서라도 논의가 필수적”이라고 덧붙였다.
한해진 기자
댓글 0
답변 글쓰기
캡차
0 / 2000
메디라이프 / 오피니언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