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메디 양보혜 기자] 지난해 국내 수입된 원료의약품의 30%는 중국산이지만, 품질관리가 제대로 되고 있는지 불안감이 고조되고 있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에 공급되는 원료의약품 수입국 1위는 중국이다. 싼 가격을 무기로 국내 최대 원료 공급처로 자리매김했지만 이번 발암 물질 함유 고혈압 약 파동을 계기로 품질 관리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한국의약품수출입협회가 발표한 지난해 국내 의약품 수입액은 총 58억8227만 달러(6조5646억원)로, 이중 원료의약품은 18억888만 달러(2조187억원)를 차지했다.
국가별 수입현황을 보면 중국이 5억5225만 달러(6163억원)로 1위를 차지했으며, 이어 일본 2억8582만 달러(3189억원), 인도 1억6877만 달러(1883억원), 오스트리아 등 기타 71개국 1억6109만 달러(1797억원), 미국 1억5110만 달러(1686억원) 순이었다.
중국산 원료는 원가 절감 효과가 좋다. 국산보다 20~30% 정도 저렴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GMP 인증 기준에 부합하는 시설에서 갖췄더라도 이번 사건과 같은 품질 관리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논란이 된 원료를 생산한 화하이는 중국 제약산업을 견인하는 기업 중 하나로 꼽힌다. '국가급 하이테크기술기업' '국가 혁신형 기업' 등 중앙 및 지방정부로부터 인증을 받았지만 불순물 함유 '발사르탄' 논란을 일으켰다.
해당 제약사가 제조공정 일부를 변경하면서 불순물인 ‘N-니트로소디메틸아민(NDMA)’이 검출됐지만, 이 사실을 유럽의약청(EMA)가 발견하기 전까지는 알지 못했다.
EMA에서 문제를 제기하자 내부 조사를 실시해 사실을 인정했다. 합성의약품의 경우 제조공정이나 제조법이 바뀌면 품질에 영향을 준다는 것은 업계의 상식이다.
이 원료를 사용해 고혈압약을 제조·판매해온 국내 제약사들이 이번 사건으로 매출과 신뢰도에 적지 않은 타격을 입을 것으로 예상된다.
"수입 원료 관리 손 놓은 식약처, 제약사에 의존"
더 큰 문제는 EMA처럼 필터링 역할을 담당해야 할 식약처가 국민 건강과 직결된 의약품 관리에 손을 놓고 있었다는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