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메디 양보혜 기자] 수년간 유망주로 지목됐지만 여전히 비상을 꿈꾸는 국내 '바이오산업' 육성을 위해 정부가 팔을 걷어부치고 나선다.
19일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서울 그랜드컨벤션센터에서 '2019년 바이오의약품 정책·허가 심사 설명회'를 개최, 이와 관련한 구체적인 계획을 발표했다.
강석연 식약처 바이오생약국장[사진 左]은 "바이오 분야를 맡은지 25년째로, 처음부터 뜬다는 말을 들었는데 아직 뜨는 중이다. 하지만 셀트리온이나 삼성바이오로직스 등의 기업들이 약진하면서 바이오 분야를 바라보는 외부 시선이 바뀌었다"고 말했다.
이어 강 국장은 "문재인 정부에서 바이오산업을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천명한 만큼 우리도 힘을 내서 노력하겠다"며 "국내 의약품산업 규모는 약 20조원이고 이중 바이오는 2조원 정도에 불과하지만 외국 시장은 훨씬 큰 2000억불 규모로 2배 이상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그는 "케미칼과 달리 수출적인 측면에서 보면 성장세나 규모가 크다고 볼 수 있어 바이오가 미래 먹거리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덧붙였다.
정책 추진 방향은 안전성을 해(害)하지 않으면서 규제를 개선하는 것이다. 국회 계류 중인 '첨단바이오의약품법'의 지속 추진과 함께 첨단바이오의약품 특성을 고려한 전주기 안전관리체계를 갖춘다.
박지혜 사무관은 "첨단바이오의약품 안전관리체계 구축을 위해 인체유래 세포 및 조직 관리기준 가이드라인을 제정하고, 첨단바이오의약품의 특성을 반영한 GMP 가이드라인을 마련한다"며 "세포치료제 제조방법 시 비교동등성 평가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하는 등 허가·심사체계를 구축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 사무관은 "국내 백신 자급률을 2023년 75%까지 끌어올리기 위해 임상표준시험실, 품질관리시험실 등을 갖춘 국가 백신 제품화 기술지원센터를 마련할 방침"이라며 "마이크로바이옴 활용 의약품이나 치매치료제 개발 및 제품화 지원에도 나설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