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익위 '전문위탁병원 사후 정산, 관리·감독 강화'
최종수정 2019.06.04 12:07 기사입력 2019.06.04 12:07 댓글쓰기
데일리메디 홈인물초대석
[데일리메디 고재우 기자] 보훈병원과 전문위탁병원 간 국가유공자 진료비 후불 정산제도 운영을 강화하고, 전문위탁병원에 입원한 국가유공자의 간병비 지급 등 지원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판단이 나왔다.
 
국민권익위원회(권익위)는 4일 국가유공자의 전문위탁병원 진료비 문제 개선을 제기한 고충민원과 관련해 보훈병원 지정 전문위탁병원이 국가유공자에게 진료비를 직접 청구하지 않도록 국가보훈처(보훈처)에 보훈병원과 전문위탁병원 간 ‘사후정산제도’ 운영에 대한 관리·감독을 강화할 것을 권고했다.
 
또 권익위는 경제적 사정으로 보호자 등의 간병이 현저히 곤란하다고 인정되는 전문위탁병원 입원 국가유공자에게 간호·간병 통합서비스 또는 간병비 지급 등 지원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놨다.
 
보훈처는 전상군경을 포함한 국가유공자 등에게 통상 보훈병원에서 무료진료를 받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진료범위를 초과하거나 시설·장비 등 진료여건을 고려해 전문병원 치료가 필요할 경우 해당 병원과 협약을 체결해 진료를 받도록 하고 있는데, 전문위탁병원 수는 전국적으로 109곳이 있다.
 
‘국가보훈대상자 의료지원규정’은 보훈병원과 전문위탁 진료협정을 체결한 의료기관의 진료비용은 전상군경 등 환자 본인부담 비용을 제외한 금액을 해당 의료기관이 보훈병원에 청구하고, 보훈병원은 사후 정산하는 후불방식으로 운영토록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보훈처가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최근 3년 간 국가유공자가 진료비용을 전문위탁병원에 납부한 뒤 보훈병원에 청구해 정산하는 ‘직접정산 방식’이 전체 진료 인원의 70% 안팎인 것으로 확인됐다. 병원 측이 행정적 사유로 환자에게 진료비를 직접 청구해 국가유공자들이 병원비 조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다.
 
권익위는 ▲전문위탁병원이 국가유공자 환자에게 본인 부담액을 제외한 진료비용을 청구할 수 있는 관련 규정이 없다는 점 ▲환자 직접정산이 최근 3년 간 70%정도로 개선의 여지가 보이지 않는 점 ▲국가유공자 환자들이 직접 정산하면서 경제적 부담이 증가할 수 있는 점 등을 고려해 시정을 권고했다.
 
아울러 권익위는 전문위탁병원에 입원한 국가유공자 환자들 중 생활여건이나 경제상황 등으로 보호자 등 간병이 곤란하다고 인정되는 환자에 대해 간호·간병 통합서비스를 제공하거나 간병비를 지급하는 등 지원 대책 의견을 표명했다.
 
권익위에 따르면 업무상 재해를 입은 근로자,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감염병 환자,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등과 달리 국가유공자에 대해서는 재정부담 등의 이유로 간병비 지원 제도가 미비했다.
고재우 기자
관련기사
댓글 0
답변 글쓰기
캡차
0 / 2000
메디라이프 / 오피니언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