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메디 백성주기자] 한국 제약바이오산업의 거인 한미약품그룹 임성기 회장이 2일 새벽 숙환으로 별세했다. 향년 80세다.
임 회장은 국내 신약 개발을 주도하며 한미약품을 10대 제약사로 성장시킨 장본인이며, 국내 제약산업의 위상을 높인 인물로 평가받는다.
임 회장은 1967년 서울 동대문에서 ‘임성기약국’을 시작으로 1973년 한미약품을 창업해 ‘한국형 R&D 전략을 통한 제약강국 건설’이라는 꿈을 품고 48년간 한미약품을 이끌며 일생을 헌신했다.
"뚝심 있는 R&D 투자, 글로벌 제약사 기술수출 첫 성과"
한미약품은 설립 초기 특허기간이 만료된 의약품인 제네릭을 판매하며 입지를 다져나가다 기존 약제를 발전시킨 개량신약을 개발하며 성장해나갔다.
국내 첫 개량신약인 '아모디핀'과 '아모잘탄'을 시작으로 한미약품은 개량신약 제품군을 확대해 나가며 경쟁력을 강화했다.
그러나 개량신약 개발에 만족하지 않고, 이 과정에서 축적한 기술을 활용해 국산 신약 개발이란 새로운 목표를 제시했다.
임 회장은 "신약 개발은 내 목숨과도 같다"는 강한 의지를 내보이며 '글로벌 신약 개발사' 도약을 일생의 목표로 세웠다.
실제 매년 한미약품의 매출 중 20% 가까이를 신약 개발을 위한 R&D 비용으로 투자했다. 지난해 연구개발비는 2097억원으로 전체 매출 1조1136억원의 18.8%를 차지했다.
당시 업계에선 한미약품의 공격적인 R&D 투자가 유동성 위기를 야기할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했지만, 뚝심 있게 밀어붙인 R&D 투자는 '기술수출'이란 결실을 맺었다.
2015년 한미약품은 7개의 신약을 개발해 일라이릴리, 베링거인겔하임, 사노피, 얀센 등 글로벌 제약사에 총 8조원 규모의 기술수출 계약을 잇따라 맺으면서 국내 신약 개발 역사에 한 획을 그었다.
"한미 성공 신화, 국내 제약산업 패러다임 변화 이끌어"
한미약품의 도전은 국내 제약산업 전체에 영향을 미쳤다. 2015년 한미약품이 글로벌 제약사에 첫 기술수출에 성공하자 이후 제2, 제3의 한미약품을 꿈꾸며 R&D 투자에 나서는 제약기업들이 증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