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 '불안정한 혈압, 치매 위험 높여'
최종수정 2020.04.05 17:27 기사입력 2020.04.05 17:27 댓글쓰기
데일리메디 홈오피니언건강정보

[데일리메디 박대진기자] 혈압이 불안정할수록 치매 위험이 높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혈압을 낮추는 것 뿐만 아니라 혈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게 치매 예방에 중요하다는 의미다. 


서울대병원 강남센터 가정의학과 유정은 교수팀은 국가건강검진을 3회 이상 받은 40세 이상 성인 784만4814명을 대상으로 치매 발생 여부를 추적 관찰했다.


대상자의 이완기 및 수축기 혈압 변동성 정도에 따라 4개 그룹으로 나누고, 각각의 치매 위험도를 측정했다. 이를 통해 혈압 변동성이 치매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그 결과, 혈압 변동성이 높을수록 치매 발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완기와 수축기 혈압 변동성이 모두 높은 경우 치매 발생 위험도가 18%까지 증가했다.


구체적으로 알츠하이머 치매 발생 위험도는 17%, 혈관성 치매 발생 위험도는 최대 22%나 높아졌다.


혈압 변동성이 크면 뇌혈류 감소 및 뇌 허혈성 변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 이는 알츠하이머 치매 원인 물질로 알려진 아밀로이드 생성 증가와 관련이 있다.


또한, 혈압변동성으로 인한 혈류역학적 불안정성이 염증과 산화스트레스, 혈관 내피 기능장애 등을 유발함으로써 치매 발병에 관여했다는 게 연구팀의 분석이다.


유정은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혈압 변동성과 치매 위험도 증가의 연관성에 관한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했다”고 말했다.


이어 “고령 등 치매 고위험군의 경우 안정적인 혈압 유지가 필요하고, 고혈압이 동반돼 있는 경우에는 혈압 변동성을 낮추기 위한 약제 선택을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미국심장협회가 발간하는 ‘Hypertension’ 저널 최근호에 게재됐다.

박대진 기자
댓글 0
답변 글쓰기
캡차
0 / 2000
메디라이프 / 오피니언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