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메디 양보혜 기자] 퇴행성 골관절염 유전자치료제 인보사 허가 취소로 코오롱생명과학이 그동안 정부로부터 받은 연구 지원금을 추징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31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윤소하 정의당 의원은 "지난 2002년부터 최근까지 인보사에 정부 지원금이 최소 147억원 정도 투입됐다"고 밝혔다.
윤소하 의원은 "제품 허가 과정에서 허위사실이 확인됐다는 것은 이를 뒷받침하던 연구과제 보고서들도 허위이거나 거짓으로 작성됐을 가능성이 높다"며 "검찰 수사 대상에는 코오롱생명과학과 코오롱티슈진뿐만 아니라 연구 참여했던 연구자, 허가를 담당하고 국고 지원을 결정했던 정부부처의 공무원까지 포함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윤 의원에 따르면 코오롱생명과학은 보건복지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총 3개 부처 4개 R&D 사업, 7개 과제로 선정돼 정부 지원금을 받았다.
실제 복지부 산하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발행한 ‘2018 첨단바이오의약품 산업 백서[이미지 下]’에 따르면 인보사 개발에 복지부 20억원(2002~2007년), 산업부 104억원(2005~2011년), 복지부 및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57억원(2015~2018년) 등 약 281억원을 지원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 2002년 복지부의 신약개발지원 산업에 '세포유전자 치료법을 이용한 퇴행성 관절염 치료제 티슈진의 제품화 및 유사 치료기술 개발'이란 R&D 연구과제가 선정되면서 정부 지원이 시작됐다.
2005년에는 산업자원부의 Bio-Star를 위한 토탈 솔루션 지원 사업과 2008년 지식경제부의 바이오의료기술전략기술개발 사업에 포함됐고, 이때 과제명은 ‘퇴행성 관절염 치료제 티슈진C의 상용화’로 동일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