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메디 고재우 기자. 기획 4]고육지책이었을 것이다. 지난 2014년부터 단 한번도 100% 를 달성하지 못한 전공의 충원율로 인한 고민은 컸고, 결국 외과는 수련기간 단축이라는 초강수를 뒀다.
지난 2018년 11월 보건복지부는 외과 레지던트 수련기간을 현행 4년에서 3년으로 단축하는 ‘전문의 수련 및 자격 인정’ 등에 관한 시행규칙 개정을 공포하고, 올해 신규 외과 레지던트부터 적용했다.
이로 인해 내과에 이어 외과 수련과정도 3년으로 줄게 됐고, 세부분과 수련은 사라지고 기본적인 필수 외과 수술 및 입원환자 관리 중심으로 수련체계가 개편됐다.
당시 곽순헌 복지부 의료자원정책과장은 “지금까지 배출된 대다수 외과 전문의는 세부분과 수련 필요성이 낮은 의료기관에서 활동하고 있어 그간 수련체계 개선 필요성이 제기돼 왔다”며 개정 이유를 설명했다.
물론 수련체계 개선 필요성도 있지만, 외과 전공의 충원에 어려움을 겪었던 외과계에 ‘내과 3년제’ 성공은 귀감이 됐을 것이다.
실제로 내과 3년제 시행 3년 차를 맞았던 ‘2019 레지던트 1년차 지원 현황’에서 내과는 정원 518명에 527명이 지원했다.
서울대병원 37명(정원 23명), 세브란스병원 34명(29명), 서울아산병원 32명(26명), 삼성서울병원 21명(19명) 등 대형병원들은 넉넉한 충원율을 보였다.
지방의 상당수 병원 내과도 마찬가지였다. 조선대병원, 제주대병원, 순천향대 부천병원, 부산대병원, 양산부산대 병원 등을 비롯해 예수병원, 동의병원, 메리놀병원 등 지방 중소병원도 모두 정원을 채웠다.
하지만 외과 3년제는 내과 만큼의 효과를 보지 못했다. 외과 3년제는 기대한 만큼의 성과를 내지 못했다. 2019 레지던트 1년 지원 현황에서 외과는 정원 177명 중 147명 지원에 그쳤다.
‘이국종 효과’를 톡톡히 본 아주대병원은 4명(정원 3명)으로 최대 이변을 연출했으나, 서울대병원·서울아산병원·세브 란스병원 등을 제외한 삼성서울병원 12명(14명)·서울성모 병원 10명(14명)조차 고배를 마셨다.
심지어 현재 외과 정원은 10년 전에 비해 큰 폭으로 줄어든 수준이다. 지난 2009년 322명이었던 전국 외과 전공의 정원은 올해 177명으로 반토막이 났다.
이런 가운데 지방 의료기관들의 상황은 악화일로를 치달았다. 충북대병원, 충남대병원 등 지역을 대표하는 병원도 미달을 피하지 못 했다.
전공의 모집 미달에 대해 대한외과학회는 ‘홍보 부족’을 꼽았다. 이와 함께 관련 제도 정비가 이뤄질 경우 상황이 점차 개선될 것으로 전망했다.
윤동섭 대한외과학회 이사장은 “수련기간 3년으로 단축이 좀 더 많이 홍보가 된다면 내년도 전공의 모집에서 더 좋은 결과가 있으리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어 “수련기간 단축 시행 첫 해에 바로 전공의 부족 현상이 해결될 것으로 기대하지는 않았다”며 “전공의 수련기간 단축은 그동안 변화된 여러 제도를 반영해 합리적으로 제도를 정비하자는 큰 그림에서 이뤄진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앞으로 수련기간 단축에 더해 수련 내용 및 관련 제도 정비 등이 이뤄지면서 개선된 내용이 지원자들에게 충분히 전달될 것이며, 이에 따라 지원 상황도 점차 개선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강조했다.
수련기간 단축 보완책···통합관리 시스템 등 ‘잰걸음’
올해부터 외과 3년제가 시행되면서 이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적지 않다. 전공의 수련기간 단축으로 인한 ‘교육의 질’ 저하에 대한 걱정이다.
지난 5월 17일부터 18일까지 양일 간 경주 화백컨벤션 센터에서 열린 ‘2019 대한외과학회 춘계 학술대회’에서는 이 같은 우려가 가감 없이 전달됐다.
서울 소재 한 대학병원 외과 주임교수는 “학회가 마련한 커리큘럼과 현실은 상충 가능성이 농후하다”며 “4년에 이뤄지던 수련이 3년으로 가능할 수 있을지 걱정이다”고 말했다.
이어 “전공의특별법 시행으로 법정시간 외 자발적 수술참관 등이 원천 차단됐다”며 “전공의들 역시 술기교육 부족에 대한 고충을 토로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