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메디 박정연기자/기획 3]금년 2~3월 대구 경북 지역은 그야말로 ‘전시상황’이었다. 대구 신천지교회 사태로 코로나19 감염자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시민들은 집 밖에 나서지 않고 거리는 텅 비었다. 단체모임은 말할 것도 없이 최소한의 생활만을 위한 외출만 하며 도시 전체에는 적막감이 돌았다. 일 500명이 넘는 확진자가 발생하면서 서울에선 ‘대구 봉쇄설’까지 나오게 됐다. 시민들이 몸을 움츠리고 있는 동안 유일하게 사람들이 북적이는 곳이 있었다. 바로 병원이다. 3월 말 기준 누적 검사자는 총 30만1천명이다. 대구 경북 지역 확진자가 전체 확진자의 약 80%를 넘게 차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미뤄봤을 때 대구 경북 지역에서 진행된 검사 건수는 적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대구시의사회 이성구 회장이 의료인력 지원을 촉구하는 호소문을 발표하며 전국 의료인들의 원조를 요청했다. 그리고 이같은 호소에 많은 의료인들은 행동으로 답했다. 생업을 잠시 뒤로 미뤄두거나 없는 시간을 쪼개 병원, 선별진료소, 보건소로 달려갔다. 한 번 착용하면 식사도 못하고, 화장실도 못가는 레벨D 보호복을 입고 현장에 나섰다. 감염병이 두렵지 않냐는 질문에 “의사가 질환을 무서워해서 되겠냐”고 답하는 듬직한 모습은 불안감에 찬 국민들 마음에 위안이 됐다. 전례 없는 대규모 감염병 사태에서 더욱 빛났던 이름 없는 백의의 영웅들의 모습을 조명해봤다.
“존경하는 의사 선생님들! 지금 바로 선별진료소로, 대구의료원으로, 격리병원으로 그리고 응급실로
와주십시오!”
금년 2월 말 이성구 대구시의사회장이 홈페이지에 게재한 호소문이다.
이회장은 “대구는 유사 이래 엄청난 의료재난 사태를 맞고 있다. 의사 동료 여러분들의 궐기를 촉구합니다”면서 ‘코로나19’ 대응을 위해 대구의 선별진료소와 격리병동 등으로 달려와 줄 것을 눈물로 호소했다.
“‘코로나19’ 감염자의 숫자가 1000명(사망자 10명)에 육박하고, 대구에서만 매일 100여 명의 환자가 추가로 발생하고 있다. 우리의 사랑하는 부모, 형제 자녀들은 공포에 휩싸였고 경제는 마비되고 도심은 점점 텅 빈 유령도시가 돼가고 있다. 생명이 위독한 중환자를 보아야 하는 응급실은 폐쇄되고 병을 진단하는 선별검사소에는 불안에 휩싸인 시민들이 넘쳐나는 데다 의료인력은 턱없이 모자라 신속한 진단조차 어렵고, 심지어 확진된 환자들조차 병실이 없어 입원치료 대신 자가격리를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회장 호소문에선 당시 대구의 긴박했던 상황이 절절하게 느껴진다.
“지금 바로 선별진료소로, 대구의료원으로, 격리병원으로 그리고 응급실로 와달라”며 촉구한 뒤 “어려울 때 친구가 진정한 친구요 어려울 때 노력이 빛을 발한다. 내가 먼저 제일 위험하고 힘든 일에 앞장서겠다”는 그의 요청에 많은 의료인들이 응답했다.
우선 눈에 띄는 것은 ‘유명한’ 의사들의 행보다.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는 대한의사협회 의료 지원 요청을 받고 부인 김미경 서울대 의과대학 교수와 함께 대구로 내려가 진료를 봤다.
코로나사태 발생 직전 아주대의료원과 마찰을 빚었던 이국종 아주대병원 교수도 경기도로부터 의료 지원 요청을 받고 그 닥터헬기를 타고 대구로 향했다.
언론을 자주 타는 이들 만큼 힘썼던 ‘이름 없는 영웅들’의 이야기는 더 고무적이다.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의사 1천128명, 간호사 793명, 간호조무사 203명 등이 대구 경북지역으로 파견됐다.
병원 차원에서의 연이은 지원도 이어졌다. 서울 소재 대학병원 최초로 인력을 파견한 고려대의료원을 시작으로 대형병원은 앞다퉈 나섰다.
서울아산병원은 중환자실 진료 경력이 있는 의사와 간호사 십수명을 대구 경북지역으로 파견했다. 생활치료센터로 지정된 현대자동차연수원의 의료지원도 도맡아 진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