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메디 박대진 기자/ 기획 3] 의료전달체계 단기 대책 중에서도 최대 화두는 단연 ‘환자 중증도’였다. 경증환자 진료에 따른 패널티 부여가 예고되면서 전국 상급종합병원들은 그야말로 비상이 걸렸다.
여기에 대폭 상향 조정된 중증환자 비율이 상급종합병원 지정 조건으로 제시돼 병원장들을 긴장케 하고 있다.
중증도가 의료전달체계의 핵심으로 급부상하면서 진료현장에서는 벌써부터 부작용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억지춘향식 중증도 보정작업부터 진료과 간 위화감 문제까지 상급종합병원들은 몸살을 앓고 있는 상황이다.
수가 패널티에 진입장벽 높아진 상급종병
우선 대학병원들은 환자 쏠림현상 해결책으로 병원에 대한 패널티 카드를 꺼내든 것에 대해 불편한 기색이 역력했다.
정부는 현재 질환 경증이나 중증 여부에 관계없이 환자 수에 따라 동일하게 지급하던 의료질평가지원금과 종별가산율을 대폭 수정했다.
상급종합병원이 100개 질환에 해당하는 경증환자를 진료할 경우 의료질평가지원금을 지급하지 않고 종별가산율 적용 역시 배제시켜 중증환자 진료 중심으로 전환한다는 복안이다.
의료질평가지원금의 경우 상급종합병원 1등급 기준으로 외래진료 당 8790원이 지급된다. 개선안이 적용될 경우 상급종합병원들은 약 400억원대 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병원계는 추산했다.
뿐만 아니라 상급종합병원에서 외래 경증으로 확인된 환자에 대해서는 종별가산율 30% 적용도 원천적으로 차단된다.
정부는 경증환자에 대한 수가 보상을 줄이는 대신 중증환자에 대한 보상은 적정 수준으로 조정한다고 밝혔지만 구체적인 방안은 제시하지 않았다.
상급종합병원 지정기준 역시 중증도 조정에 초점이 맞춰졌다.
지금까지 상급종합병원으로 지정되기 위해서는 전체 입원환자 대비 중증환자 비율이 21% 이상이어야 했지만 앞으로는 30% 이상으로 강화된다.
특히 중증환자 비율이 최대 44%에 달하는 병원은 상급종합병원 지정평가에서 가산점을 부여함으로써 중증환자 진료 기능 강화를 유도한다는 계획이다.
반대로 경증환자 비율은 입원의 경우 기존 16%에서 14%, 외래환자는 17%에서 11%까지 하향조정하기로 했다. 경증환자 비율이 낮을수록 많은 가산점을 받을 수 있다.
하지만 현재 상급종합병원 중 이 기준을 충족시킬 수 있는 곳은 절반에도 미치지 못할 것이란 게 병원계 분석이다. 4주기 평가의 대혼동 우려가 제기되는 이유다.
“경증환자 비율 줄여라!”
상급종합병원들의 중증환자 비율을 높이고 경증환자 비율을 낮추기에 정책 방향이 설정되면서 진료 일선에서는 벌써 심상찮은 움직임들이 나타나고 있는 상황이다.
환자 구성비율이 상급종합병원 지정 평가에서 60%라는 절대적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만큼 당락 여부의 결정적 요소이기 때문이다.
‘빅5 병원’과 달리 중증환자 비율이 상급종합병원 지정 기준에 못미치는 병원들의 경우 재지정에 대한 불안감이 상당할 수 밖에 없는 처지다.
때문에 수도권 소재 일부 대학병원들의 경우 중증환자 구성비율을 맞추기 위해 임의로 환자비율을 조절하는 촌극까지 연출하고 있는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