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메디 박대진기자] 오는 2020년 4주기 상급종합병원 지정평가를 앞두고 벌써부터 논란이 가열되고 있다. 지난 3주기 평가에서 탈락한 울산대학교병원이 ‘진료권역’ 재설정을 강력하게 주장하며 이번 평가의 최대 화두로 부상하는 모습이다. 지역 간 의료 형평성을 위해 도입된 상급종합병원 진료권역이 오히려 불평등을 야기시키고 있다는 지적이 팽배한 상황이다. 특히 다른 병원 대비 높은 점수를 받고도 평가에서 탈락하는 사태가 속출하면서 불만이 가중되고 있다. 주무부처인 복지부 역시 이러한 상황을 인지하면서도 뾰족한 대안을 내놓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상급종합병원 진료권역에 얽힌 그 불편한 진실을 들여다 본다. [편집자주]
의미 달라진 진료권역 흑(黑)역사
상급종합병원 지정에 가장 중차대한 기준인 진료권역의 역사는 1989년 전국민 의료보험 도입 당시로 거슬러 올라간다.
정부는 지역 간 균형적 의료 발전을 도모하고 환자들이 대도시 지역 의료기관에만 편중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목적으로 의료보험제도 초기부터 진료권제도를 시행했다.
환자가 의료보험으로 진료를 받기 위해서는 분만, 응급, 기타 부득이 한 사유를 제외하고는 의료보험증에 표시된 중진료권 내 병·의원에서 진료를 받도록 했다.
가족 간호를 받기 위해 부득이 다른 진료권에서 진료를 받고자 하는 경우에도 보험자로부터 사전에 승인을 받아야 의료보험 혜택을 부여했다.
당시 진료권은 시·군별로 구분된 138개의 중진료권과 8개의 대진료권으로 편성됐다. 지금의 상급종합병원 격인 3차 진료기관은 25곳이 지정됐다.
보건복지부는 이 제도가 환자들에게 불편을 초래하고 있다는 판단에 따라 1998년 전격 폐지를 결정했다.
다른 진료권에 있는 유명 의료기관을 이용하려 해도 사전에 환자가 속한 중진료권내에 있는 의료기관에서 진료의뢰서를 받아야 하는 등의 불만이 커지면서 내린 결정이었다.
1999년에는 3차 진료기관이 ‘종합전문요양기관’이라는 명칭으로 변경됐고, 행정구역을 중심으로 9개 진료권역으로 재편됐다.
환자의 진료권 장벽은 허물어진 만큼 종합전문요양기관 지정을 위한 지역 구분 성격이었다. 현행 10개 진료권역으로 바뀐 것은 2008년이었다. 단순한 행정구역 중심의 구분이 아닌 환자의 실제 의료기관 이용행태를 반영한 진료권역 설정이었다.
2011년부터는 ‘종합전문요양기관’이란 명칭을 ‘상급종합병원’으로 바꾸고 현행과 같은 진료권역과 지정기준을 통해 의료전달체계 최상위 기관들을 선정하기 시작했다.
진료권역 재설정 연구결과 파문
상급종합병원 지정을 위한 진료권역이 2011년 이후 거의 동일하게 유지되면서 다양한 부작용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현재 진료권역은 △서울권 △경기 서북부권 △경기 남부권 △강원권 △충북권 △충남권 △전북권 △전남권 △경북권 △경남권 등 10개로 나뉘었다.
하지만 지나치게 광범위한 진료권역으로 인해 대도시 중심의 상급종합병원 지정 쏠림현상이 심화되고 있다는 지적이 지속적으로 제기됐다.
대표적으로 경북권역의 경우 3기 지정기관 5개소 모두 대구에 몰려 있다. 전남권역 역시 3개소 중 2개소가 광주, 경남권역은 6개소 중 4개소가 부산에 집중돼 있다.
서울에는 전체 상급종합병원 42곳 중 13곳이 몰려 있는 등 진료권역을 구분하고 있으나 권역이 지나치게 광범위해 지역 불균형 문제가 심화되는 상황이다.
이러한 문제에 공감한 보건복지부는 서울대학교 산합협력단에 ‘상급종합병원 지정·평가체계 개선 연구’를 의뢰했고, 해당 연구용역 결과가 공개되면서 엄청난 파장을 일으켰다.
연구 책임자인 서울의대 김윤 교수는 진료권역 기준을 인구 100만명, 지역 환자수 40% 이상, 이동거리 120분으로 설정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가령 경남권역을 부산, 울산, 경남으로 나누는 방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