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메디 양보혜 기자/기획 1]발암물질이 들어간 중국산 원료 발사르탄을 사용한 고혈압 치료제가 대거 판매 중지되는 사태가 발생하면서 복제약에 대한 신뢰성이 도마에 올랐다.
정부가 재정 절감을 위해 제네릭 처방을 장려하고 각종 규제를 완화했으며, 제약사들도 원가 절감을 위해 중국이나 인도에서 값싼 원료를 공급받아 의약품을 제조한 것이 품질 저하라는 결과를 야기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제네릭 품질 논란에 대해 의료계와 정치권, 보건당국은 각기 상반되는 입장을 갖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제네릭=저질약’으로 보는 의료계 및 정치권과 달리 식약처는 글로벌 기준에 따른 검증을 거친 약으로 지나친 우려라고 반박하고 있다.
의사 10명 중 8명 “처방 패턴 변화 예상”
의료계는 이번 고혈압 파동을 겪으며 처방 패턴에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매일 복용해야 하는 고혈압약, 당뇨약 등의 품질 논란이 지속돼 환자가 약 복용을 중단하면 더 큰 위험이 생길 수 있는 만큼 신뢰성이 더 높은 약을 선택한다는 것이다.
그간에는 제네릭 처방을 장려하는 정부 정책을 어쩔 수 없지 따랐지만, 이번 사건을 계기로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다수를 이뤘다.
이번 발암물질 사건이 발생하자 대한의사협회는 성명을 통해 “그동안 의사들이 믿을 수 있는 오리지널 의약품을 처방하면 고가 약을 처방했다는 경고를 받는 등 저가 복제약 처방을 강요받아 왔다”며 “의사 처방을 규제하고 무조건 싸구려만 강요하는 현 제도를 바꾸지 않으면 이번 사태와 같은 일이 또 다시 발생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의협은 “제네릭 약효와 안전성을 신뢰할 수 없다”며 “보건방국이 나서서 오리지널 약과 비교해 제네릭의 약효 동등성 및 성분을 확실히 검증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실제 설문조사에서도 의료진의 인식 변화가 여실히 드러났다. 주로 고혈압 환자를 진료하는 의사 260명 대상 ‘발암물질 함유 발사르탄 이슈 관련 실태 및 현황’ 설문조사(인터엠디)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79%가 “발사르탄 사건 후 이 제제 의약품 처방 방법에 대해 변화가 있다”고 답했다.
특히 고혈압 환자를 많이 보는 진료과(내분비내과, 순환기 내과, 신경과, 신장내과 등)에서는 전체 응답자 대비 6%p 높은 85%의 응답자가 “오리지널로 대체 처방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사태로 의사들이 문제가 없는 발사르탄제제 의약품 처방을 주저하게 됐을 뿐만 아니라 제네릭 전반에 대한 불신이 커진 것으로 해석된다.
또 오리지널 발사르탄 성분 의약품으로의 변경 의향(53% → 45%), 문제되지 않는 발사르탄 성분의 제네릭 의약품으로의 변경 의향(12% → 10%)이 모두 하락했다.
향후 고혈압치료제 선택 기준이 바뀔 것이냐는 질문에서 응답자 99%가 “변경될 것”이라고 답했다.
의약품을 처방하는 태도와 관련, “중국산 원료인지 아닌지 등 원료를 따져보고 처방할 것”이라는 응답이 46%로 가장 많았고, “제네릭보다는 오리지널을 처방하게 될 것”이라는 응답이 11%p 오른 23%를 기록했다.
실제로 오리지널 의약품인 노바티스의 ‘엑스포지’, ‘디오반’ 처방이 급증해 전(全) 용량 품목이 동이 나는 현상이 벌어 지기도 했다.
일부 의사들은 발사르탄 대체방안으로 카나브(피마사르탄), 미카르디스(텔미사르탄) 등의 다른 오리지널 의약품으로 스위칭한 것으로 파악됐다.
학회는 조치 대상인 환자들은 해당 의약품을 처방받은 병· 의원에서 재처방 혹은 처방 변경을 받고, 필요하다면 담당 의사와 상담하도록 권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