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메디 양보혜기자] 코로나19 의심 증상 중 하나인 발열을 잡기 위해 사용하는 해열진통소염제 '이부프로펜'이 도마 위에 올랐다.
아세트아미노펜(제품명 타이레놀), 아스피린과 함께 전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해열진통제인 이부프로펜은 비스테로드성 소염제(NSAIDS 계열)이기도 하다. 제품명으로는 부루펜·이부펜·도시펜·나르펜·에드빌 등이 있다.
이번 논란의 발단은 지난 17일 세계보건기구(WHO)가 "코로나19 의심 증상이 있는 환자는 이부프로펜 성분 의약품을 복용해선 안된다"고 권고하면서 촉발됐다.
크리스티안 린드마이어 WHO 대변인은 “이부프로펜이 특정 상황에서 부작용이 있는지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며 “그 동안 자가 치료용으로 이부프로펜을 사용하지 말고 차라리 파라세타몰(아세트아미노펜의 다른 이름)을 쓸 것을 추천한다”고 언급했다.
앞서 올리비에 베랑 프랑스 보건부 장관이 '이부프로펜이나 이와 유사한 소염제의 투약이 코로나19 감염을 악화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고 SNS를 통해 주의한 뒤 나온 조치다.
이 같은 권고사항을 뒷받침하는 의학적 근거는 있다.
최근 영국의 의학저널 '란셋'에 이부프로펜과 같은 소염제를 복용할 경우 특정 효소작용이 촉진돼 코로나19 감염이 촉진되고 증세가 악화될 수 있다는 가설이 나왔다.
그러나 이부프로펜이 코로나19 감염 증상을 어떻게 악화시키는지에 대한 정확한 기전은 아직 규명되지 않았다.
일각에선 코로나19 바이러스가 결합할 수 있는 호흡기 수용체 발현을 높여 바이러스 침투를 용이하게 하는 게 아니냐는 가설을 제기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