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메디 고재우기자] 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중대본)는 오는 4일부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대응지침’을 일부 변경한다고 3일 밝혔다.
여기에는 기존에 밀접접촉자·일상접촉자 구분 대신 ‘접촉자’로 일괄 분류하고, 확진환자와 2m 이내 접촉·폐쇄공간서 마스크를 쓰지 않고 기침을 한 경우 같은 공간에 있던 사람 등을 접촉자로 하는 내용이 포함됐다.
또 자가격리자에 대해서는 지방자치단체 공무원을 투입해 ‘일대일’로 관리하는 방안도 추진된다.
중대본은 이날 세종3브리핑실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이 같은 방침을 발표했다. 우선 밀접접촉자와 일상접촉자의 구분이 없어지고, 이를 일괄적으로 ‘접촉자’로 구분한 뒤 자가격리 조치한다.
이에 따라 확진환자 유증상기 2m 이내 접촉이 이뤄진 사람, 확진 환자가 폐쇄공간에서 마스크를 쓰지 않고 기침을 한 경우 같은 공간에 있었던 사람 등은 역학조사관 판단을 거쳐 접촉자로 분류된다.
자가격리자에 대해서는 지자체 공무원을 투입해 일대일 관리에 들어간다. 중대본은 자가격리가 필요한 접촉자 정보를 지자체 소속기관 소관부서에 제공하는 등 조치에 나선다.
예를 들어 어린이집 종사자는 관련 지자체 보육 관련 부서로 명단을 통보하는 식이다.
한편 3일 오전 9시를 기준으로 추가로 확인된 확진자는 없는 상황이다. 중대본은 총 490명의 조사대상 유증상자에 대해 검사를 시행했고, 확진자가 추가로 확인되지 않음에 따라 확진 15명, 격리해제 414명(음성), 검사 진행 중 61명 등이라고 확인했다.
감염자 중 중국으로부터 유입된 사례 9명, 일본에서 확진된 환자와의 접촉으로 유입이 추정되는 사례 1명, 이외 국내 2차 감염 사례 5명 등이다.
고재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