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메디 양보혜 기자] 공매도 쓰나미로 인해 바이오 시장이 휘청거리면서 규제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특히 일본 수출규제 등의 악재가 속출하는 상황에서 증시 변동성을 낮추기 위한 대안으로 거론되고 있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국내 증시 폭락으로 인해 바이오 주가도 동반 하락하고 있다. 이에 시장의 불안정성을 키우는 공매도 규제에 정부가 적극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공매도'는 주가가 떨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주식을 빌려서 판 뒤 실제로 주가가 하락하면 싼 값에 다시 사들여 빌린 돈을 갚는 방식으로 차익을 얻는 투자방식이다.
지금처럼 증시가 불안정할 때 외국인 투자자나 기관들이 주가가 내려갈 것으로 예상해 주식 공매도에 나설 경우 주가 하락을 부채질하는 효과를 낼 수 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8월2일 기준 시가총액 1조원이 넘는 코스닥 바이오기업 10곳의 시가총액이 7일 현재 8조4353억원 증발했다.
코스닥 시장을 주도했던 대형 제약·바이오주가 흔들리자 업종 전체가 도미노처럼 휘청거렸다. 이 같은 혼란에 공매도 세력까지 합류하면서 시장은 지속적으로 침체됐다.
실제 주식시장의 일평균 공매도 거래대금이 1월 4541억원, 2월 3983억원에서 8월 1일 4550억원, 2일 5545억원, 5일 6031억원으로 급증했다.
지난 5일 한국거래소가 지정한 공매도 과열 상위 20개 종목 중 절반에 달하는 9개 종목이 바이오기업으로 집계됐다.
이처럼 상황이 계속 악화되자 최근 금융당국이 공매도 규제 의지를 드러냈다.
최종구 금융위원장도 같은 날 “비상계획의 단계별 조치에 대해 내부적으로 점검하고 공유했다”며 “공매도 규제를 강화하는 방안에 대해선 검토를 충분히 마쳤고 언제든지 시행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정부가 공매도 규제 의지를 피력하자 제약·바이오업계는 찬성하며 공매도 금지법 제정을 요구하고 나섰다.
임종윤 한국바이오협회 이사장은 입장문을 통해 “바이오산업 성장동력을 저해하는 공매도를 전면적으로 금지하는 공매도금지법 제정을 강력히 촉구한다”며 “공매도 규제는 바이오 산업을 지지하고 응원해왔던 선의의 개인 및 기관 투자자에 대한 보호책이며 피해를 최소화하는 조치"라고 밝혔다.
임 이사장은 또한 "바이오산업은 악질적이고 부정한 공매도 세력의 놀이터로 변한 지 오래"라며 "한국 바이오산업이 거품론을 걷어내고, 실질적인 성장을 유지할 수 있는 근본 조치는 신속한 공매도 금지법 가동과 부정한 공매도 세력에 대한 정밀한 조사와 처벌"이라고 역설했다.
그는 "바이오산업은 잇단 악재로 주가 하락이 이어지고 있고, 업계가 느끼는 정서는 불안과 공포에 가깝다"며 "이런 악재를 틈타 주식변동성을 노린 공매도 세력 기승은 제약·바이오 주가 하락과 불안감 고조의 주범"이라고 비판했다.
상장 바이오사 관계자도 "대외적으로는 일본 수출규제로 뒤숭숭하고, 대내적으로는 코오롱티슈진, 신라젠 사건 등으로 인해 바이오 시장이 침체돼 있는데, 공매도는 이런 분위기에 기름을 붓는 격"이라며 "장기적으로는 조정이 될 수 있겠지만, 공매도로 인해 기업가치가 왜곡되고, 불안정성을 높인다는 측면에서 적정한 공매도 규제 조치가 필수"라고 지적했다.
물론 일각에선 공매도 금지를 반대하고 있다. 공매도 규제가 단기적으로는 증시 급락에 제동을 거는 효과가 있을 수 있지만, 중장기적으로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이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이번 사례의 경우 대외 변수 등으로 인해 주가가 지속 하락할거라고 판단해 공매도에 나선 것으로, 공매도 자체가 주식 시장 변동성의 주범이라 보기 어렵다"며 "게다가 정부가 공매도 규제에 나설 경우 국내 시장에 대한 대외 신뢰도가 떨어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