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메디 양보혜 기자] 인보사 사태와 관련해 허가 과정에서 정관계 로비가 의심된다는 의혹이 제기된 데 대해 코오롱생명과학은 "사실무근"이라고 일축했다.
26일 윤소화 정의당 의원과 시민단체들이 공동 주최한 '인보사 사태 무엇이 문제인가' 토론회에서 정형준 인도주의실천의사협의회 사무처장은 이 같은 의문을 던졌다.
재활의학과 전문의인 정형준 사무처장은 식약처의 인보사 허가 과정에서 발생한 의문들을 근거로 식약처 로비 주장을 펼쳤다.
정 사무처장은 "허가 심사 당시인 2017년 4월 중앙약사심의위원회 회의에서는 7명 중 6명이 반대해 인보사를 불허했으나 두 달 만에 열린 중앙약심 회의에선 허가하는 쪽으로 바뀌었다"며 "이 과정에서 코오롱의 로비가 있지는 않았는지, 이들이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인보사는 부실한 연구결과에도 불구하고 정부로부터 400억원의 지원을 받았다"며 "임상 단계마다 제대로 검증했어야 하는데, 그런 과정이 없는데 어떻게 가능한지 궁금하다"며 정황적 근거로 제시했다.
김병수 건강과대안 운영위원 역시 "첫 번째 중앙약심에서는 골관절염 증상 완화를 위해 유전자치료제 위험성을 사용하는 건 위해가 크다고 했다가 두 달 만에 허가로 의견이 바뀌었다"며 "허가 과정에 의문이 든다"고 지적했다.
그는 "코오롱생명과학은 개발 초기부터 293유래세포가 사용돼왔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는데 그렇다고 한다면 이 회사는 세포주(셀라인)를 관리할 능력이 없다는 걸 스스로 인정하는 꼴"이라며 "무능하거나 사기이거나 둘 중 하나"이라 비판했다.
또한 인보사 허가를 앞두고 국회에서 이뤄진 관련 법 개정도 코오롱생명과학의 노력으로 이뤄진 게 아니느냐는 의문을 던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