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메디 양보혜 기자] "의약품, 바이오, 의료기기 등이 결합된 융복합혁신제품이 국내 시장에 신속하게 진입할 수 있게 그동안 부서별로 나눠서 맡았던 허가 업무의 칸막이를 걷어낸 융복합혁신제품지원단을 발족했다."
김상봉 식품의약품안전처 융복합혁신제품지원TF 단장[사진 左]은 최근 오송 식약처에서 열린 전문지기자단 기자간담회에서 이 같이 말했다.
식약처는 산업 간 경계를 넘나드는 혁신적인 의약품, 의료기기 등의 개발부터 허가, 상업화에 이르는 전 과정을 지원하는 위한 '융복합 혁신제품 지원단(이하 지원단)을 구성, 운영하고 있다.
지원단을 이끌고 있는 김상봉 단장은 "4차 산업혁명 관련 혁신기술을 기반으로 다양한 보건의료상품이 나오는 분위기다. 이들 제품들은 반드시 식약처 허가 과정을 거쳐야 시장에 출시될 수 있다"며 "이중 융복합 제품의 경우 의약품으로 허가를 받아야 할지, 아니면 의료기기로 받아야 할지 분류하는 과정만해도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고 말했다.
"예를 들어 당뇨 환자의 혈당을 측정한 뒤 약까지 뿌려주는 콘택트렌즈의 경우 의료기기와 의약품이 결합된 제품이기에 분류가 어렵다"며 "하지만 지원단이 구성됨에 따라 우리나라 환자들도 다른 나라환자들처럼 혁신 융복합 제품에 대한 접근성이 제고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부서별 허가업무 칸막이 없애겠다"
"융복합제품 많아지도록 제도적 기반 토대 혁신환경 조성 기여"
"심사관 확충하면서 전문성 및 역량 향상 적극 추진"
김 단장은 "허가를 신속하게 한다고 해서 안전성 기준을 느슨하게 낮춘다는 의미가 아니다"라며 "글로벌 수준의 안전을 담보하며 융복합 상품을 개발할 수 있는 제도 및 인프라를 제공한다는 뜻"이라고 강조했다.
식약처는 몇 년 전부터 융복합 제품 개발 지원을 위한 제도 마련을 위해 준비해왔다. 더 많은 제품이 쏟아지기 전에 식약처가 능동적으로 나서서 시장의 수요를 반영한 제도를 정비해야 한다는 판단에서다.
김상봉 단장은 "융복합 제품이 쏟아져서 제도가 생기는 건지, 제도가 있어서 융복합 제품이 쏟아지는지 사람마다 의견이 다르다"며 "그러나 융복한 제품이 많아지도록 제도적 기반이 혁신을 리드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는 생각에 선제적으로 나섰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