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메디 양보혜 기자] 미국 3대 암학회 중 하나인 '미국 암학회(AACR)'에 국내 제약사들이 총 출동해 업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기술수출 성과가 이어질 수 있다는 기대감 때문이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오는 3월29일부터 4월3일까지 미국 필라델피아에서 열리는 '2019 AACR'에 역대 최다 국내 업체가 연구 중인 파이프라인 성과를 발표할 것으로 관측된다.
올해로 110회째인 AACR 학술대회는 전세계 120여 국가의 4만명이 넘는 전문가들을 회원으로 두고 있는 암 연구 분야 최고 권위의 글로벌 행사다.
금년 1월 개최됐던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가 파트너링이 주목적이었다면 AACR은 기업들의 R&D성과를 발표하는 자리이기 때문에 향후 기업의 가치를 판가름할 수 있다는 점에서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다.
이번 AACR에선 종근당, 유한양행, 한미약품, GC녹십자 등 기존 대형 제약사는 물론 바이오업체들이 그간 진행해왔던 연구 성과들을 공개할 예정이다.
종근당은 그동안 개발해온 경구용 항암제 'CKD-516' 임상 결과를 발표한다. CKD-516은 암에 영양분을 공급하는 혈관을 파괴해 세포 괴사를 유도하는 새로운 기전의 물질로, 혈관 생성을 억제하는 기존 항암제보다 더 직접적이고 효과적으로 암을 치료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