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메디 양보혜 기자] '바이오 산업'을 둔 국내 대기업들의 경쟁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삼성, SK, LG에 이어 포스코도 바이오 사업 검토에 들어갔다.
13일 언론 및 업계에 따르면 포스코 최정우 회장이 지난 10일 서울 강남구 포스코센터에서 열린 '2019년 철강 신년회'를 마친 뒤 기자들과의 만남에서 바이오사업 추진 가능성을 내비친 것으로 전해졌다.
최정우 회장은 "포항공대가 바이오 부문에 많은 연구역량과 기술을 축적하고 있어 이를 잘 활용하면 바이오 부문을 신성장 사업 부문의 새로운 영역으로 선정해 성장시켜 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최 회장은 이어 "신성장 부문에서 에너지 저장 소재에 집중하고 있는데, 새로운 영역이 뭐냐에 대해선 그룹 전략에 맞춰 정리될 것"이라며 "권오준 전(前) 회장이 말했듯 바이오도 중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권오준 전 회장은 작년에 열린 창립 50주년 기념 기자간담회에서 바이오 산업 진출에 대한 의지를 드러낸 바 있다. 그러나 중도 사퇴하면서 관련 사업 검토가 올스톱 된 상태다.
권 전 회장은 "바이오 산업 진출을 앞두고 여러 가지를 신중하게 검토하고 있다"며 "바이오 부문에서 많은 노하우를 쌓아온 포항공대와 협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언급했다.
당시 포스코는 신약 개발은 물론 체외진단검사 분야까지 모두 포함시켜 사업 가능성 여부를 살펴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제약업계 관계자는 "포항공대가 바이오 관련 여러 연구를 하고 있지만, 기존 사업과 분야가 너무 달라 외연 확대가 이득인지 지켜봐야 할 것 같다"며 "하지만 대규모 자본력과 인력 등을 활용해 빠르게 바이오 시장 진출에 성공한 삼성, SK, LG의 사례를 보면 포스코도 진출 자체가 어렵다고는 볼 수 없다"고 전망했다.
삼성·SK·LG, 바이오사업 순항···"오픈이노베이션 활용"
먼저 바이오 사업에 뛰어든 삼성, SK, LG는 순항 중이다. 삼성의 경우 분식회계 관련 이슈로 불확실성이 존재하지만 무난한 사업 성과를 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