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그룹이 미래 전략인 ‘딥체인지(근본적인 변화)’ 계획을 발표했다.
기존 사업과 시너지를 내며 성장성이 풍부한 분야로 헬스케어 사업을 꼽고, ‘제2의 하이닉스’처럼 육성하겠다는 방침이다.
세계 제약·바이오 시장 공략을 위한 주자로 SK바이오팜과 SK바이오텍이 뛴다. SK텔레콤과 자회사 SK하이닉스도 의료기기 및 의료 시장으로 영역을 확대한다.
이처럼 글로벌 헬스케어 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 변화 중인 SK를 살펴봤다.
“제약·바이오, 차세대 성장동력 선정 ”
최태원 회장은 올초 ‘딥체인지’라는 화두를 던지며 ㈜SK의 미래 방향성을 제시했다.
최태원 회장은 신년사에서 “SK가 지난 20년간 그룹 이익이 200배 성장하는 성과를 올렸지만 여전히 ‘올드 비즈니스’를 운영하거나 개선하는 수준에 안주하고 있다”며 “미래 생존이 불확실한 서든 데스(Sudden Death) 시대에서 지속 성장하기 위해서는 딥 체인지(Deep Change)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차세대 성장 동력으로 반도체·소재, 에너지, ICT와 함께 헬스케어를 지목했다. 헬스케어 부문에 2조원을 투자할 계획도 밝혔다.
사실 SK의 제약·바이오 사랑은 역사가 깊다. 이 분야를 ‘제2의 반도체’로 키우기 위한 노력은 25년 전부터 시작됐다.
SK는 1993년 그룹의 미래 먹거리 발굴을 위해 신약 연구 ·개발(R&D)에 돌입했다. 당시 유공 대덕 기술원 내 신약 개발연구팀이 SK바이오팜의 전신(前身)이다.
조직이 꾸준히 커지다가 2007년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된 뒤 지주사 직속 신약개발사업부로 승격했으며, 2011년 물적분할을 통해 SK바이오팜이 탄생했다.
2015년에는 원료의약품 생산 및 제조 사업을 강화하기 위해 SK바이오팜으로부터 SK바이오텍을 분사시켰다. 쉽게 말해 SK바이오팜은 신약 R&D, SK바이오텍은 의약품 생산 및 제조에 집중하도록 한 것이다.
현재 SK바이오팜에는 최 회장의 장녀 최윤정씨가 책임 매니저로 근무하며, 실무 경험을 쌓고 있다. 미국 시카고대 에서 생물학을 전공한 후 같은 학교 뇌과학연구소 연구원으로 일했던 그는 지난해 6월 입사했다.
오너의 자녀가 경영수업을 받고 있다보니 SK바이오팜은 더 주목받고 있다. 글로벌 시장 공략을 위한 임상 개발 수행 및 신약 관련 마케팅은 미국 뉴저지 현지법인인 SK라이프사이 언스가 맡고 있다.
한편, SK케미칼은 최태원 회장의 사촌인 최장원 씨가 44.6%의 지분을 보유한 지주회사인 SK디스커버리 내 포진돼 있다. 최장원 씨는 SK디스커버리 대표이사 부회장과 SK케미칼 부회장을 겸직하고 있다.
SK케미칼은 화학(그린케미칼비즈)과 제약(라이프사이언스 비즈) 부문으로 나눠 각자대표 체제로 운영되고 있다.
라이프사이언스비즈는 제약과 바이오(백신) 사업 부문으로 구성되는데, 지난 7월 백신 사업을 분할해 신설회사인 ‘SK바이오사이언스(SK케미칼 100% 자회사)’를 설립했다.
이로써 SK케미칼은 친환경 소재 및 합성의약품 사업에, SK바이오사이언스는 백신 사업에서 더욱 전문성을 키우고 사업 강화에 나선다.
SK바이오팜·바이오텍·하이닉스 잇단 성과
최태원 SK그룹 회장의 강력한 의지에 따라 장기간 추진됐던 신약 개발 사업들이 잇따라 성과를 내고 있다.
SK바이오팜은 지난 11월 뇌전증 신약 ‘세노바메이트’의 판매 허가신청서(NDA)를 미국 FDA에 제출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