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업계에도 '블라인드 채용' 바람이 불고 있다.
동아쏘시오홀딩스를 비롯해 유한양행, 종근당, 대웅제약 등 주요 제약사들이 이 제도를 도입, 인재를 선발하고 있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보수적인 조직문화를 가진 제약업계가 인재 채용에 있어 새로운 시도를 하고 있다. 채용 과정에서 학력·출신 지역·가족 관계·성별 등을 가리고 실력 위주로 뽑는 것이다.
이런 변화의 원인은 다양하다. 정부가 추진하는 편견없는 공정한 채용문화 확산이란 사회적 흐름에 맞춰 가기 위한 것이며, 채용의 투명성을 강화해 인사 청탁과 같은 부적절한 사건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목적도 있다.
우선, 동아쏘시오홀딩스는 작년 하반기 채용부터 블라인드 방식을 도입했다. 업계 최초로 도입된 채용 방식은 지주사 내 동아에스티, 동아제약 등 계열사에도 똑같이 적용됐다.
연구·개발 등 전문직을 제외한 전 부문에 단계적으로 도입해왔으며, 이 과정을 거쳐 뽑힌 지원자들은 인턴으로 약 4개월간 근무하고 난 뒤 직무능력·근무성적 등을 평가받아 정규직 전환 여부가 결정됐다.
새 채용 방식이 적용되면서 50년 이상 사용해 온 입사지원서 양식이 대대적으로 수정됐다. 지원자의 이름과 연락처, 자격 및 경력, 직무 관련 교육 이수사항, 지원 분야 역량, 가치관 등의 내용만 적어 표기하도록 했다.
면접 전형도 마찬가지다. 면접관은 지원자의 인적사항을 모르는 상태에서 직무 관련 역량평가를 통해 점수를 주고, 그 결과에 따라 합격 여부를 결정지었다.
동아에스티 관계자는 "과거 면접에선 전공이나 대학에 관한 질문이 주를 이뤘다면, 블라인드 방식이 도입되면서 지원한 분야에 관한 배경지식, 적성 등을 묻는 내용으로 바뀌었다"며 "이 같은 변화로 브랜드 이미지가 좋아져 대학생들이 가장 취업하고 싶어하는 제약사 1위로 선정되기도 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