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소비자원이 무좀약, 순간접착제 등을 안약으로 오인해 투여하지 않도록 주의를 당부했다.
한국소비자원은 안약과 유사한 형태의 다른 의약품이나 생활화학제품을 안약으로 오인하고 눈에 넣어 결막염, 화상 등 안구손상을 입는 사고가 다수 발생하고 있다고 1일 밝혔다.
소비자원에 따르면 지난 2015년부터 2017년까지 소비자위해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에 접수된 안약 오인 점안사고는 총 133건(2015년 45건, 2016년 51건, 2017년 37건)에 달한다.
특히 오인 점안사고 중에서는 여름철 사용하는 무좀약을 안약으로 착각해 눈에 넣는 사고가 전체 41.4%(55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서 ‘순간접착제’ 17.3%(23건), ‘전자담배 니코틴액’ 14.3%(19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60대’ 26.3%(35건), ‘50대’ 20.3%(27건), ‘70대 이상’ 13.5%(18건) 등의 순으로 50대 이상 고령층이 전체의 60.1%를 차지했다.
연령대별로 다발 오인품목에 차이를 보였다.
‘20대~30대’에서는 전자담배 니코틴액이 가장 많은 반면 ‘40대 이상’에서는 무좀약이 가장 많았다. 연령대별 해당 제품의 접촉빈도와 관련된 것이란 분석이다.이에 한국소비자원은 무좀약 4종, 순간접착제 3종, 전자담배 니코틴액 3종 등 총 10개 종 용기 형상을 확인했는데 용기 형태 및 크기, 입구, 개봉방식, 내용물의 색상 등이 안약과 유사해 오인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제품은 눈에 들어갈 경우 자극감, 결막충혈이 발생하거나 심한 경우 시력 저하 또는 이차 감염을 유발할 수 있다.
한국소비자원 관계자는 “무좀약, 순간접착제 등을 눈에 잘못 넣었을 때는 즉시 물이나 식염수 등으로 씻어낸 후 해당 제품을 가지고 병원을 방문해 눈의 손상유무를 확인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