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킬(Keele) 대학과 쿼드램 연구소(Quadram Institute) 연구팀은 항생제를 사용한 사람은 사용하지 않은 사람에 비해 류머티즘 관절염 발병률이 60% 높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고 메디컬 익스프레스가 24일 보도했다.
RA 환자 2만2천677명과 RA가 없는 대조군 9만13명에 관한 '임상사례 연구 데이터링크'(Clinical Practice Research Datalink)의 10년간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전체적으로 RA 환자는 진단 전 평균 10년 사이에 항생제에 노출될 가능성이 대조군에 비해 16배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항생제에 노출된 시기는 진단 전 1~2년 사이인 경우(80%)가 5~10년 사이인 경우(57%)보다 많았다.
사용한 항생제(페니실린, 마크롤라이드 계, 퀴놀론 계 등)는 모든 종류가 RA 위험 증가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중에서도 살균성(bactericidal) 항생제가 이러한 연관성이 45%로 정균성(bacteriostatic) 항생제의 31%보다 더 강했다.
이러한 연관성은 항생제 외에 항진균제(27%)와 항바이러스제(19%)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항생제가 사용된 감염 종류별로는 호흡기 감염이 연관성이 가장 강했다. 그중에서도 상기도(URT) 감염이 두드러졌다.
치료받지 않은 상기도 감염의 경우는 이러한 연관성이 관찰되지 않았다.이 모든 결과는 항생제 사용이 RA 위험 증가와 연관이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지만 현재로서는 항생제 사용이 문제인지, 아니면 감염이 문제인지는 단정하기 어렵다고 연구팀을 이끈 킬 대학의 크리스천 몰렌 교수는 설명했다.
그러나 항생제가 1형(소아) 당뇨병, 자가면역성 간(肝)질환 같은 자가면역질환과 연관이 있다는 연구결과들이 최근 발표된 일이 있다고 그는 지적했다. RA도 자가면역질환 중 하나이다.
항생제가 RA 위험과 연관이 있는 이유는 장(腸) 세균총(microbiome)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일 것으로 연구팀은 보고 있다.
RA 환자들은 장 세균총의 종류가 다른 사람에 비해 덜 다양하다는 연구결과들도 있다고 연구팀은 지적했다.
이 연구결과는 RA 발병기전의 복잡성을 엿볼 수 있는 또 하나의 사례다.
류머티즘 관절염은 노인들에게 흔히 나타나는 퇴행성 관절염(골관절염)과는 달리 면역세포의 일종인 T세포가 팔목, 손가락, 발가락, 발목, 무릎 등 신체의 관절이 있는 부위를 공격해 발생하는 일종의 자가면역질환으로 모든 연령대에서 발생할 수 있다.
이 연구결과는 온라인 과학전문지 '바이오메드 센트럴-의학'(BMC - Medicine)에 발표됐다.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