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 전문가들 '백신 부작용 자극적 보도 자제'
최종수정 2021.03.04 12:51 기사입력 2021.03.04 12:51 댓글쓰기
데일리메디 홈뉴스의원/병원
[데일리메디 박민식기자] 최근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 후 2명이 사망한 것과 관련해 전문가들이 자극적인 보도를 자제해달라고 언론에 호소하고 나섰다.
 
아직 백신 접종과 사망 간 인과관계가 밝혀지지 않은 상황에서 이 같은 보도가 자칫 국민들의 백신에 대한 신뢰도를 떨어지고 접종률 제고에 차질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는 이유에서다.
 
전문가들은 이미 대규모 접종이 진행된 외국 사례에 비춰봤을 때 이번 사례가 백신으로 인한 사망일 가능성도 높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4일 엄중식 가천대길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개인 SNS에 “백신 접종 후 사망이 발생하는 경우 백신이 원인인지 밝히려면 상당한 시간이 걸린다”며 “이런 허점을 이용한 저열한 상업주의적 보도가 다시 쏟아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기자나 데스크가 백신에 의한 사망이 아닐 것이라는 것을 모를 리 없다. 모른다면 자격이 없다”고 언론의 보도 행태를 강도 높게 비판했다.
 
이재갑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 역시 연일 우려 목소리를 내고 있다.
 
그는 전날 SNS에 “또 속보 경쟁이 시작됐다. 정말 하나도 안 변한다”고 안타까움을 토로하는가 하면 백신 부작용 보도 시 유의해야할 부분들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이 교수는 ▲선정적 제목을 달면 안 된다 ▲인과관계 확인 시까지 유보적 태도의 보도가 돼야 한다 ▲백신 전문가의 의견을 반드시 인용해야 한다 ▲정치인의 비과학적 언급을 따옴표 처리해 언급하는 것은 절대 안 된다 등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며 “해당 내용을 꼭 지켜주길 부탁한다”고 당부했다.
 
정재훈 가천대길병원 예방의학과 교수도 “백신 안전성은 이미 외국의 접종 사례가 잘 보여주고 있다”며 “속보는 국민들에게 불안함만 더 안겨줄 뿐”이라고 꼬집었다.
 
이어 “특히 요양병원 환자들 중에는 더 심한 질환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아 대부분은 다른 명확한 사인이 있다”며 “논란이 커질 경우 망자의 가족과 망인이 더 힘든 과정을 겪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질병관리청은 최근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 후 사망한 두 환자 사례에 대해 접종과의 연관성 등 조사에 착수했다.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전날 브리핑에서 “현재 질병청은 지자체와 함께 역학조사를 진행하고 있다”며 “추가적인 의무기록조사와 시‧도 대응팀의 검토, 질병청의 예방접종피해조사반 검토 등을 통해 예방접종과 연관성을 확인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박민식 기자
댓글 0
답변 글쓰기
캡차
0 / 2000
메디라이프 / 오피니언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