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세포→정상세포' 전환 원천기술 국내 개발
최종수정 2020.01.09 17:57 기사입력 2020.01.09 17:57 댓글쓰기
데일리메디 홈뉴스학술/학회
[데일리메디 박정연기자] 암으로 변이된 세포를 다시 정상세포로 되돌릴 수 있는 원천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카이스트(KAIST) 바이오 및 뇌공학과 조광현 교수[사진]팀은 몸 속 유전자 조절 과정을 분석해 암세포를 정상 세포로 바꿀 수 있는 원리를 찾았다고 9일 밝혔다. 

현재 병원에서는 암환자 치료시 약물을 주된 수단으로 사용하는 ‘항암 화학요법’을 널리 사용한다.

분열 속도가 비정상적으로 빠른 암 세포를 공격해 사멸시키는 게 목표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정상 세포도 피해를 보면서 구토와 설사, 탈모 같은 부작용이 일어난다.

게다가 암세포는 항암제에 내성이 나타나기 때문에 치료 효과를 높이려면 더 많은 정상 세포를 죽여야 하는 문제가 생긴다.

카이스트 연구진은 암 세포를 죽이는 게 아니라 정상세포로 되돌리는 방법을 발견했다.
 암세포가 정상세포로 돌아오는 현상이 간헐적으로 관찰됐지만 원인은 오리무중이었는데 이번에 그 비밀이 밝혀진 것이다.

비밀의 핵심은 유전자를 조절하는 몸 속 단백질인 ‘SETDB1’이었다. 연구진이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세포의 움직임을 분석한 결과 이 물질의 기능은 암 세포를 정상 세포로 되돌리려는 우리 몸의 작용을 억제시켰다.

연구진은 대장암 환자에게서 떼어낸 조직을 배양해 SETDB1의 활동을 억제했더니 암 세포가 정상 세포로 바뀌는 모습을 확인했다. 독한 화학요법이 주는 부작용을 겪지 않고도 암에 대항할 수 있는 방법이 생긴 것이다.

조광현 교수는 “다른 암에서도 이번에 발견한 단백질이 비슷한 기능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당뇨나 고혈압 같은 만성질환처럼 암도 적절히 관리하면서 삶의 질을 유지할 수 있는 길을 연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박정연 기자
관련기사
댓글 0
답변 글쓰기
캡차
0 / 2000
메디라이프 / 오피니언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