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메디 김민수 기자] 정부가 2020년까지 세계 7대 의료기기 강국 진입을 천명한 후 관련 분야 산업 육성에 안간힘을 쓰고 있지만, 최종 목표 달성이 쉽지 않을 전망이다.
목표 달성 시점까지 고작 6개월이 남았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세계 시장의 이목을 집중시킬만한 가시적인 성과는 없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18일 의료기기 업계 등에 따르면 지난 2015년 산업통상자원부·미래창조과학부·보건복지부·식품의약품안전처 4개 부처는 2020년까지 세계 7대 의료기기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4가지 분야 대책을 제시했다.
당시 4개 부처는 ▲시장이 형성되기 시작한 태동기 유망기술에 대한 R&D 투자 확대 ▲혁신 제품의 조기 시장진출 지원 ▲국내외 판로개척을 통한 성장기반 마련 ▲의료기기 산업 육성을 위한 인프라 확충 등을 추진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약 3년 6개월이 흐른 현 시점에서 국내 의료기기 업계는 정부 당국이 내놓은 산업 육성 및 발전 대책 중 체감하는 내용은 거의 드물다는 반응을 내놓고 있다.
A업체 이사는 “청와대는 혁신성장을 외치고 있지만 주무부처에서는 계속 총량을 늘리고 있다”며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임상시험 의무화, 갱신제, GLP인증, UDI 등 국민의 안전성 강화라는 표면적인 이유를 내걸고 산업을 옥죄고 있다”고 토로했다.
이어 “업계가 국민의 안전을 무시한 채 무분별하게 규제를 풀어달라고 한 적은 없다”며 “단편적으로 정책을 추진하지 말고, 업계와 논의를 거쳐 불필요한 내용은 과감히 삭제해달라는 것인데 이마저도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의료기기 분야에서도 4차 산업혁명 기술이 출현하고 있으나, 각종 법령 및 제도가 기술 발전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는 형국이다.
B업체 이사는 “예를 들어 과거에는 의료기기 사용 후 환자나 시술자만이 문제를 알 수 있지만, 지금은 사물인터넷의 발전으로 언제, 어디서나 추적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