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메디 박다영 기자] 만성폐쇄성폐질환(이하 COPD)을 앓고 있는 환자는 미세먼지가 심한 환경에서 호흡곤란 횟수가 일반인에 비해 28배나 높아지는 등 삶의 질이 급격히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림대학교동탄성심병원 호흡기내과 현인규, 김철홍 교수와 일본 구루메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요코 이시하라 교수 등 공동연구팀은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이 한국 만성호흡기병 환자의 호흡기 증상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The Impact of Air Pollution, Including Asian Sand Dust, on Respriratory Symptom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Outpatients With Chronic Respiratory Disease in Korea: A Panel Study)’ 연구를 통해 이 같은 결과를 확인했다.
이 연구결과는 대한예방의학회가 발행하는 국제학술지(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최근호에 실렸다.
연구팀은 2013년 2월부터 2015년 2월까지 한림대학교동탄성심병원을 방문한 환자 중 COPD을 앓고 있는 환자 75명과 호흡기질환이 없는 90명의 대조군을 비교분석했다.
연구는 미세먼지가 유행하는 2월을 기준으로 추적조사를 통해 5월과 7월 호흡기증상과 삶의 질 변화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최근 한 달 간 신체 및 정신 건강상태를 묻는 설문조사와 폐기능검사 등으로 진행됐다.
그 결과 COPD 환자는 황사가 유행하는 시기에 신체 컨디션이 저하되고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시기에는 활동점수가 낮았다.
김철홍 교수는 “미세먼지가 심혈관질환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연구는 많았지만 대기오염과 삶의 질 연관성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며 “이번 연구를 통해 미세먼지, 이산화질소 및 오존은 삶의 질을 악화시킬 정도의 호흡기 증상을 유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고 말했다.
이어 “대기오염의 부작용은 만성호흡기질환과 상관없이 생기고 있으며 특히 COPD 환자에서는 더 빈번하고 격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공공기관은 이처럼 미세먼지에 취약한 사람들의 대기오염으로 인한 건강상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보호조치를 수립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