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메디 김민수 기자] 출범 후 의료기기 산업에 대한 관심을 지속적으로 보여 온 문재인 정부가 ‘해커톤’ 방식을 활용해 국산 제품 경쟁력 강화 및 산업 육성에 나설 전망이다.
해킹(hacking)과 마라톤(marathon)의 합성어인 해커톤은 대표적 이해 당사자들이 참여해 각자의 입장을 공감하고, 상호 합의에 따른 결론을 도출하는 열린 토론 방식을 뜻한다.
대통령 직속 4차 산업혁명위원회는 지난 8일 서울 포스트타워에서 ‘규제 혁신의 성과와 과제 컨퍼런스’를 열고, 해커톤 성과와 추진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유영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사진]은 축사를 통해 “그동안 네거티브 규제가 적극적으로 이뤄지지 않아 보이지 않는 규제의 벽들이 생겨났다”며 “앞으로 현장의 목소리를 잘 반영해 불필요한 규제를 줄이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주요 연자로 나선 이종영 중앙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와 고진 4차 산업혁명위원회 위원은 규제 샌드박스 제도와 해커톤 활용 방안에 관련한 발표를 진행했다.
이종영 교수에 따르면 규제 샌드박스 제도는 융복합 서비스 및 제품이 빠르게 등장하면서 기존 법령이 부적절하게 적용되는 사례를 방지하기 위해 도입됐다.
이 제도를 활용하면 혁신적 융복합 서비스·제품이 안전상 문제가 없으면 발 빠른 상용화가 가능케 함으로써 국내 산업 경쟁력 강화에 큰 도움이 된다는 게 이 교수의 설명이다.
이 교수는 의료계와 관련해 DTC 유전체 분석을 통한 맞춤형 건강증진 서비스를 예시로 들었다.
그는 “규제 샌드박스 시행 전에는 비의료기관과 의료기관 간 역할 차별화 논리로 신기술 도입이 계속 지연됐다”며 “심지어 미국, 영국, 일본보다도 검사 항목이 제한적이었다”고 꼬집었다.
이어 “규제 샌드박스로 이 문제를 접근해 보니 13개 질환에 대한 검사항목이 허용됐고, 질병예측 및 건강관리 서비스도 할 수 있게 됐다”며 “이해 충돌로 교착 상태였던 사안이 객관적 근거에 의한 논의를 통해 어느 정도 해결된 셈”이라고 덧붙였다.
문제는 샌드박스 신청 사업에 대한 심의 및 통과 기준이 여전히 보수적이라는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