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당뇨병 비밀의 문 열렸다
최종수정 2018.09.04 10:35 기사입력 2018.09.04 10:35 댓글쓰기
데일리메디 홈뉴스의원/병원

[데일리메디 박대진 기자] 국내 연구진이 한국인 당뇨병 환자에게 특이적으로 나타나는 유전자 변이를 처음으로 규명했다.


서울대학교병원 내분비내과 곽수헌[左], 박경수 교수[右]팀은 당뇨병 환자 7850명과 정상 혈당을 유지하는 한국인 9215명의 유전자 변이를 분석했다.


연구팀은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73만개 유전자 변이를 확인했다. 그리고 이중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 변화를 일이키는 변이를 중점적으로 살폈다.


그 결과 인슐린을 분비하는 췌장 베타세포 분화에 관여하는 PAX4(paired box 4) 유전자 변이와 당뇨병 치료제로 사용되는 인크레틴 호르몬 수용체인 GLP1R(glucagon-like peptide 1 receptor) 유전자 변이가 한국인 당뇨병 발병에 중요함을 밝혀냈다.


PAX4 유전자의 192번째 단백질 아미노산이 아르기닌에서 히스티딘이나 세린으로 치환된 경우 당뇨병 위험이 약 1.5배 높아졌다.


이 변이는 한국인에서 빈도가 각각 8%(히스티딘)과 4%(세린)였으나, 유럽인에서는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GLP1R 유전자의 131번째 단백질 아미노산이 아르기닌에서 글루타민으로 치환된 경우에는 오히려 당뇨병 위험이 0.86배 낮아졌다. 이 변이 역시 한국인에서는 빈도가 21.1%였지만 유럽인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 한국인 당뇨병 환자 중 PAX4 유전자 변이가 있으면 당뇨병 발병 연령이 낮았으며, GLP1R 유전자 변이가 있으면 심장, 뇌혈관질환이 적게 발생했다.


박경수 교수는 “한국인 당뇨병 발병에 특이적인 유전자 변이를 발견해 한국인 당뇨병 정복의 새로운 기틀을 마련했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곽수헌 교수는 “이번 연구는 당뇨병 예방 및 맞춤치료를 앞당길 것”이라며 “당뇨병 등 만성질환의 정밀의료 데이터가 실제 임상현장에 적용될 날이 머지않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포스트게놈 다부처유전체 사업 인간유전체 이행연구 및 세계선도의생명과학자육성과제 연구비 지원으로 수행됐으며, 당뇨병 분야 최고 권위지인 ‘당뇨병(Diabetes)’ 9월호에 게재됐다.

박대진 기자
댓글 0
답변 글쓰기
캡차
0 / 2000
메디라이프 / 오피니언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