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메디 정승원 기자] 내달부터 시작되는 외과계 의원의 심층진찰료·교육상담료 시범사업에 대해 외과계가 기대를 감추지 않고 있다.
보건복지부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최근 수술 전후 교육상담 등의 시범사업을 오는 10월부터 추진한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수술 전후 환자 상태에 대해 특정기간, 일시적·반복적 교육이 필요할 때 구조화된 교육상담 또는 심층진찰을 실시할 수 있다.
교육상담료 시범수가는 초진 2만4000원이고 재진 1만6400원이며, 심층진찰료 역시 2만4000원을 적용한다. 심층진찰료는 진찰료 대신 지급받고 교육상담료에는 진찰료가 별도 산정된다.
대한외과의사회 정영진 회장은 2일 서울 그랜드힐튼호텔에서 개최된 추계연수강좌 기자간담회에서 “이번 심층진찰료와 교육상담료가 외과 의원들의 수가보전 차원에서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그동안 국민들에게 충분히 전달할 수 없었던 내용들을 설명하고 왜 수술을 해야 하는지, 수술 후의 후유증은 무엇인지에 대해서도 설명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환자들에게 충분한 설명해줄 수 있는 계기 될 듯"
정 회장은 “내과가 나아지고 외과가 몰락한 것은 결국 환자수가 줄어든 탓인데 이러한 할증 개념으로 수가 보전이 된다면 환자가 적어도 외과의원들에는 도움이 될 것”이라며 “지금은 설명을 오래 해줘도 진찰료가 늘지 않는데 이제는 충분한 설명 의무를 다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심층진찰료와 교육상담료 수가 수준에 대해서는 시작하는 것에 의미를 부여했다.
정 회장은 “수가 수준에 대한 만족보다는 수가가 신설돼 시범사업이 시작한다는 것에 만족하고 싶다”며 “대학병원의 심층진찰료는 선택진료비 폐지에 따른 면이 있다. 외과계 의원들의 심층진찰료와는 개념이 조금 다르다”고 설명했다.
정 회장은 “외과에서는 하루에 50명의 환자를 보는 곳이 많지 않다”며 “이번 시범사업은 외과계의 만성질환관리제라고 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시범사업 활성화로 외과 개원가의 경영이 나아져야 외과 전체의 선순환이 이뤄질 것이라는 기대감도 내비쳤다.
정 회장은 “이번 시범사업은 외과를 살린다기 보다는 외과 의원들에 도움이 되는 정책”이라며 “외과 개원의들이 대우를 받아야 외과 전공의 충원도 이뤄질 것이고 논란의 PA(Physician Assistant) 문제도 해결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정 회장은 “외과 살리기에 대해서는 안전수가와 감염관리, 환자안전과 관련된 수가에 대해 지속적으로 건의를 하고 있다”며 “안전에 대해 외과도 노력하면 수가로 보전을 해줘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