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과 전공의 지원·PA간호사 해결 '단초' 기대'
최종수정 2018.09.03 06:01 기사입력 2018.09.03 06:01 댓글쓰기
데일리메디 홈뉴스의원/병원

[데일리메디 정승원 기자] 내달부터 시작되는 외과계 의원의 심층진찰료·교육상담료 시범사업에 대해 외과계가 기대를 감추지 않고 있다.
 

보건복지부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최근 수술 전후 교육상담 등의 시범사업을 오는 10월부터 추진한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수술 전후 환자 상태에 대해 특정기간, 일시적·반복적 교육이 필요할 때 구조화된 교육상담 또는 심층진찰을 실시할 수 있다.


교육상담료 시범수가는 초진 2만4000원이고 재진 1만6400원이며, 심층진찰료 역시 2만4000원을 적용한다. 심층진찰료는 진찰료 대신 지급받고 교육상담료에는 진찰료가 별도 산정된다.


대한외과의사회 정영진 회장은 2일 서울 그랜드힐튼호텔에서 개최된 추계연수강좌 기자간담회에서 “이번 심층진찰료와 교육상담료가 외과 의원들의 수가보전 차원에서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그동안 국민들에게 충분히 전달할 수 없었던 내용들을 설명하고 왜 수술을 해야 하는지, 수술 후의 후유증은 무엇인지에 대해서도 설명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환자들에게 충분한 설명해줄 수 있는 계기 될 듯"
 

정 회장은 “내과가 나아지고 외과가 몰락한 것은 결국 환자수가 줄어든 탓인데 이러한 할증 개념으로 수가 보전이 된다면 환자가 적어도 외과의원들에는 도움이 될 것”이라며 “지금은 설명을 오래 해줘도 진찰료가 늘지 않는데 이제는 충분한 설명 의무를 다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심층진찰료와 교육상담료 수가 수준에 대해서는 시작하는 것에 의미를 부여했다.

현재 대학병원에서 역시 진행 중인 ‘15분 진료’ 개념의 심층진찰료와 외과계 의원의 심층진찰료는 다른 관점에서 봐야 한다는 것이다.


정 회장은 “수가 수준에 대한 만족보다는 수가가 신설돼 시범사업이 시작한다는 것에 만족하고 싶다”며 “대학병원의 심층진찰료는 선택진료비 폐지에 따른 면이 있다. 외과계 의원들의 심층진찰료와는 개념이 조금 다르다”고 설명했다.


정 회장은 “외과에서는 하루에 50명의 환자를 보는 곳이 많지 않다”며 “이번 시범사업은 외과계의 만성질환관리제라고 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시범사업 활성화로 외과 개원가의 경영이 나아져야 외과 전체의 선순환이 이뤄질 것이라는 기대감도 내비쳤다.


정 회장은 “이번 시범사업은 외과를 살린다기 보다는 외과 의원들에 도움이 되는 정책”이라며 “외과 개원의들이 대우를 받아야 외과 전공의 충원도 이뤄질 것이고 논란의 PA(Physician Assistant) 문제도 해결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정 회장은 “외과 살리기에 대해서는 안전수가와 감염관리, 환자안전과 관련된 수가에 대해 지속적으로 건의를 하고 있다”며 “안전에 대해 외과도 노력하면 수가로 보전을 해줘야 한다”고 덧붙였다. 

정승원 기자
댓글 2
답변 글쓰기
캡차
0 / 2000
  • 정원 09.03 11:10
    의사 정원 늘려라
  • 정재훈 09.07 19:38
    외과의사를 의대생으로 늘리려면 수가를 외국처럼 3억까지 올려야 할 것이며

    외과의사를 pa간호사로 늘리려면 실력을 테스트해 합격한 pa로 하여금 상황이 상황인 만큼 의대는 나온 걸로 하고 인턴 레지던트 과정으로 바로 실시해야 할 것입니다 결국 이론 위주 학습은 계속 해나갈 것이고 핵심은 임상경험에 있으므로 상황에 맞게 대처해나가야 할 것입니다

    보건복지부 관계자분들은 제 의견에 대해도 검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메디라이프 / 오피니언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