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ys2/file_attach/2018/08/06/1533565232-6.jpg)
[데일리메디 한해진 기자] 환자가 퇴원한 후에도 임상적 상태를 확인해 진료의 연속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퇴원 후 연계(care transition)’ 진료에 대한 의료진 및 환자의 관심이 높아져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최근 데일리메디와 만난 건국대학교병원 가정의학과 최재경 교수[사진]는 “우리나라에서도 얼마 전 처음으로 퇴원 후 연계 임상진료지침이 개발된 바 있지만 실제 의료현장에서 활발히 적용되지 못하고 있다”며 아쉬움을 드러냈다.
‘퇴원 후 연계’라는 말 자체는 국내에서 아직 생소하지만 넓게 보면 병원에서 진료를 받은 환자의 재입원율 감소, 회복 지연의 최소화, 퇴원 후 발생할 수 있는 일상생활의 독립성 저하 예방 등 다양한 측면의 관리를 의미한다.
최재경 교수는 “진료 연속성에 대한 개념이 부족했다. 환자가 무사히 진료를 받으면 병원에서 할 일을 다 했다고 보는 경우가 일반적이었다”며 “그러나 실제로는 입원했을 때 다른 문제가 생기거나 퇴원 후 증상이 더욱 나빠지는 경우가 많았다”고 설명했다.
예를 들어 낙상으로 입원한 환자의 허리 통증을 치료하더라도 낙상의 근본적 원인을 찾지 못하면 결국 환자는 반복해서 병원을 찾을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최 교수는 “특히 노인 환자의 경우 이 같은 상황이 반복되면 의료비용은 증가하고 회복은 늦어지는 악순환이 발생한다”며 “환자 또한 회복에 능동적으로 참여하고 사회적 의료비를 줄일 수 있도록 퇴원 후 약물과 식습관 관리 등 기능 회복을 도와 치료 예후를 좋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에 최 교수를 비롯한 연구팀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보건의료기술연구개발사업을 통해 노인 환자들을 위한 임상진료지침을 개발했다.
또한 건국대병원은 이를 시행하기 위해 광진구보건소와 협약을 맺고 퇴원 후 연계 관리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노인환자들 호응도 생각보다 낮고 의료기관도 추가 인력 등 현실적으로 어려운 실정"
그러나 실제로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환자 수는 적은 것으로 알려졌다.
최 교수는 “노인환자들의 호응이 높을 것으로 기대했는데 그렇지 않다. 새로운 관리를 받는다는 것에 거부감을 느끼거나 의료진에게 개인적 생활환경을 공개하기 꺼리는 경우가 많다”며 “병원 방문만으로 치료가 종료되는 것이 아니라는 의식의 확산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의료기관의 경우는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으나 추가적인 인력 등의 요구로 적용을 어려워하고 있다.
최 교수는 “임상진료지침 취지와 효과를 알게 된 다른 병원에서는 긍정적인 반응이다”라며 “그러나 다학제팀 등 추가적인 인력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몇 가지 검사를 제외하고는 이익을 낼 수 있는 방법이 없기 때문에 쉽게 도입하지 못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결국 이를 뒷받침할 수 있을 만한 정책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최 교수는 “퇴원 후 연계 개념뿐만 아니라 커뮤니티케어, 장기요양보험 등 노인의료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제도적 관리가 부족하다”며 “이번 임상진료지침 또한 정부와의 협업으로 개발된 것인 만큼 활성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노인 환자가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음을 현장에서는 피부로 느낀다. 이를 정부가 어떤 비용으로 감당할 수 있을지 예측하기 어렵다. 이런 때일수록 예방적 관리가 중요시돼야 한다”며 “수가를 억눌러 의료 비용을 줄이는 것 외에도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https://dailymedi.com/dmedi/img/nimg/logo.gif)
한해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