혹시나 했는데 역시나···강남세브란스병원 '고민'
최종수정 2018.08.14 12:07 기사입력 2018.08.14 12:07 댓글쓰기
데일리메디 홈뉴스의원/병원
[데일리메디 고재우 기자] 혹시나 했는데 역시나였다. 강남세브란스병원 산부인과에 지원한 전공의가 전무(全無)한 것으로 나타나 병원 산부인과 인력난 심화는 피할 수 없어 보인다.
 
특히 내년부터는 해당 과에서 전공의를 모집하는 것도 중단되기 때문에 병원 측이 고심은 커질 전망이다.
 
지난 10일 ‘2018년도 후반기 전공의 모집’ 결과에 따르면 강남세브란스병원 산부인과에 지원한 전공의는 단 한명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전공의 2명 사직 및 금년 전반기 전공의 모집 실패에 이어 후반기 전공의 모집에서도 지원자가 한 명도 없어 병원 산부인과 전공의 인력난이 심화될 예정이다.

저학년차 전공의 인력난이 심화되면 그 부작용이 산부인과 교수들과 3~4년차 전공의들에 대한 과부하로 이어질 가능성이 자명하다.
 
또 업무부담 가중은 PA(Physician Assistant·진료보조인력) 간호사 논란 등으로 번질 우려도 있다.
 
이런 가운데 강남세브란스병원이 내놓을 수 있는 대책은 ▲교수 채용 ▲복지부 행정처분 완화 등이 유이(有二)한데, 이마저도 저출산 여파로 인한 산부인과 인기하락 등에 따른 이유로 여의치 않아 보인다.
 
산부인과 의사 자체가 많지 않아 현실적으로는 복지부 행정처분이 완화되기를 바랄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비인기 산부인과, 행정처분, 기존 인력 이탈로 인한 인력난 심화 등 삼중고(三重苦)를 겪고 있는 셈이다.
 
강남세브란스병원 내부 관계자는 “복지부 현지조사 등을 통해 전공의 모집정지 2년이라는 처분기간이 줄어들 수 있는 만큼, 모든 가능성을 두고 준비하는 수 밖에 없다”며 어려움을 호소했다.
 
한편 강남세브란스병원이 복지부로부터 받은 행정처분은 기존에 있었던 논란과는 무관하다.
 
아울러 지난 2016년 12월 전공의법 시행 이후 강남세브란스병원에 대한 행정처분은 두 번째 사례로, 첫 번째는 지난해 10월 전북대병원이 받았다. 전북대병원 또한 수련환경평가에서의 허위자료 제출 건으로 행정처분을 받은 바 있다. 당시 해당병원에서는 전공의 간 폭언·폭행이 문제가 됐다.
고재우 기자
댓글 4
답변 글쓰기
캡차
0 / 2000
  • 반성 08.14 14:06
    성추행이 일상화되었던 강남세브란스 산부인과에 어느 인턴이 가고 어느 부모가 보내겠는지? 상식적으로 생각하고 2년동안 환골탈태하길.
  • 세란이 08.22 10:56
    성추행 교수에 대한 처벌도 없이 뻐젓이 근무하고 있는데 누가 거길 가나.
  • 08.29 09:50
    일상화인지 보신분인가. 입원한 아픈환자 버려두고 자신의 칼퇴위해 뛰쳐나가본 사람이구나 ㅉㅉ 
  • 08.29 09:53
    약준다고 해놓고 몇시간씩 기다리게 했던 그분인가보네
메디라이프 / 오피니언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