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메디 박다영 기자] 가톨릭관동대를 비롯해 건양대·연세대(원주)·인제대·조선대 등 의과대학이 있는 대학교들이 학생 정원 감축 대상으로 최종 확정됐다.
교육부는 정원감축 방법에 대해서는 각 대학교에 자율적으로 맡긴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따라 학비가 가장 높은 단과대 중 하나인 의과대학에서는 정원 감축이 이뤄지지 않을 가능성이 높게 점쳐진다.
교육부와 한국교육개발원은 3일 각 대학에 '2018년 대학 기본역량 진단' 최종 결과를 통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2018년 대학 기본역량 진단 최종 결과는 지난 8월23일 발표한 내용과 동일하게 확정됐다.
교육부는 28일까지 각 대학의 이의신청을 받아 타당성 검토와 심의를 거쳐 최종 결과를 확정지었다.
지난 달 공개된 가결과와 동일하게 ‘부실대학’으로 인식된 역량강화 대학에는 66개 대학이, 진단제외대학과 재정지원제한대학에 각각 30개, 20개교가 포함됐다.
의과대학이 있는 가톨릭관동대·건양대·연세대(원주)·인제대·조선대는 역량강화대학 명단에 포함돼 향후 3년간 정원 감축을 피할 수 없게 됐다.
이번 진단 결과에 따른 대학혁신지원사업에 따른 정원 감축 권고 이행은 2019년부터 2021년까지 3년간 적용된다.
2020년 이 대학들은 보완평가를 통해 정원 감축 이행 실적과 계획을 점검받는데 이 결과에 따라 2021학년도 재정지원제한이 해제되거나 추가 재정지원을 받을 수 있다.
교육부는 정원 감축 방법과 관련, 단과대별로 일정 비율을 두지 않고 대학이 자체 기준을 마련토록 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데일리메디와의 통화에서 “2018년도 총 정원 기준으로 2021년까지 10% 정원을 감축하면 된다”면서 “세부 기준은 대학별로 자율적으로 마련하면 된다”고 전했다.
등록금이 대학교의 주요 재원인 만큼 감축 인원이 단과대별로 정해지지 않으면 등록금이 높은 과에 속하는 의과대학은 정원 감축의 영향을 피할 수도 있다.
가톨릭관동대·건양대·연세대(원주)·인제대·조선대 등 의대를 보유한 각 대학은 정원감축과 관련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건양대학교 한 관계자는 “정원 감축은 대학교에서는 민감할 수밖에 없는 문제다. 쉽게 결정할 수 있는 사안이 아니다. 한두달 내에 구체적인 방법을 결정하기 어렵다. 시간을 두고 장기적인 로드맵을 그려가기 위해 논의 중”이라고 전했다.
다른 학교 관계자도 “교육부 발표가 이제 막 났기 때문에 학교에서 별도 준비를 하지는 못했다”며 “차차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과별로 정원 감축이 어떤 방식으로 이뤄질지는 좀 더 두고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라고 언급했다.
한편, 대학 기본역량 진단과 관련해서 교육부 김상곤 부총리는 “진단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이 대학답게 성장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할 예정”이라며 “현재 진행 중인 차기 진단(2021년 시행 예정) 정책연구 결과에 대해 충실한 의견 수렴을 거쳐 새로운 진단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