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메디 박대진 기자] 정부가
‘재활난민
’ 문제 해결을 위해 재활의료기관 제도 도입을 추진 중인 가운데 의료진 수요 예측 실패로 인력대란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감이 커지고 있다
.
현재 적잖은 의료기관이 재활병원으로의 전환을 모색하고 있지만 인력기준이 지나치게 높아 현실적으로 충족시키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지난해 10월부터 시작된 재활의료기관 시범사업만 놓고 보면 해당 병원에는 무조건 재활의학과 전문의 3명 이상이 상근해야 한다.
특히 입원환자 40명 당 재활의학과 전문의 1명을 채용토록 함으로써 병상이 많은 병원일수록 채용해야 하는 전문의가 더 늘어날 수 밖에 없는 구조다.
물론 이 기준은 본사업 전환시 변경될 가능성도 있지만 ‘인력기준’과 ‘의료 질(質) 제고’를 동일시 여기는 정부의 관행을 감안할 때 더 낮아질 공산은 희박하다는 분석이다.
병원계 일각에서는 이 인력기준을 그대로 본사업에 적용시킬 경우 재활의학과 전문의 인력대란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현재 8만 병상을 운영 중인 일본의 회복기 재활체계를 감안할 때 재활의료기관 제도가 도입될 경우 총 3만 병상이 필요할 것으로 추산된다.
이를 40병상 당 전문의 1명으로 계산하면 총 750명의 재활의학과 전문의가 필요하다는 계산이 나온다. 하지만 현재 요양병원 등에서 회복기 재활을 담당하고 있는 전문의는 550명에 불과하다.
수치상으로 제도 자체가 불가능하다는 결론에 이른다. 물론 전체 재활의학과 전문의는 1985명이지만 대학에 남거나 개원하는 경우가 적잖은 만큼 사실상 의료현장의 수요를 맞출 수 없는 구조다.
대한재활병원협회 우봉식 회장은 “연간 100~120명의 재활의학과 전문의가 배출되고 이 중 50여 명이 취직한다”며 “제도에서 요구하는 인력을 충족할 수 없다”고 말했다.
전문의 몸값 천정부지···연봉 3억설 회자
재활의학과 전문의 품귀현상은 이미 일선 의료현장에서 나타나고 있다. 특히 지방 중소병원들의 경우 수 개월째 전문의를 구하지 못해 진료과 폐쇄까지 검토하는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
경기도 소재 한 종합병원 원장은 “수 개월째 재활의학과 전문의를 구하지 못하고 있다. 씨가 말랐다는 말을 실감하는 중”이라며 “제도 변화에 따른 인력 파동”이라고 한숨을 내쉬었다.
경상북도 소재 한 중소병원 원장 역시 “재활의학과 전문의 확보가 여간 힘든 게 아니다”라며 “이 상태가 지속된다면 진료과를 폐쇄해야 할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인력난이 가중되면서 재활의학과 전문의 몸값도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
요양병원에 의한 1차 인력난 당시 연봉 2억원을 훌쩍 넘긴 재활의학과 전문의 몸값은 최근 3억원에 육박한다. 그나마 지방의 경우 3억원을 제시해도 채용을 못하는 상황이다.
인력시장에서 연봉이 고공행진을 거듭하면서 신규 채용은 물론 기존에 재직하던 재활의학과 전문의들도 연봉 인상을 요구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경상남도 소재 한 요양병원 관계자는 “최근 재활의학과 의사로부터 연봉 인상 요구를 받았다”며 “아무래도 시장 상황 변화에 반응하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이어 “재활의학과 인력시장 상황을 감안하면 수용해야 하지만 타 진료과 의료진과의 형평성도 고민해야 한다”며 “도미노 임금 인상에 대한 우려가 깊다”고 덧붙였다.
![](https://dailymedi.com/dmedi/img/nimg/logo.gif)
박대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