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가 취약지역 주민을 위한 의료시스템 개선에 나섰다.
강원도는 2022년까지 5년 동안 총 2566억원을 투입해 도농 간 격차를 줄이기 위한 '공공보건의료 발전계획'을 수립해 추진한다고 8일 밝혔다.
공공보건의료 발전계획은 4개 과제, 40개 단위사업으로 수립됐으며 분만과 소아청소년, 응급 등 의료취약지역을 점진적으로 줄이기 위해 추진된다.
도는 분만 취약지에 ‘찾아가는 산부인과’를 운영하고 ‘분만 산부인과’도 매년 1곳씩 확대 설치할 예정이다. 또한 취약지 응급의료기관을 지원하고 농어촌 지역을 대상으로 원격의료를 추진할 방침이다.
필수의료서비스 지원도 확대된다. 신속한 재난 의료지원 체계 구축을 위해 18개 시군 보건기관에 재난의료지원팀을 구성해 운영한다는 계획이다.
환자 가족의 간병 부담을 줄이기 위해 간호간병 통합서비스 의료기관을 현재 7곳에서 20곳으로 확대하고 취약계층 등에 대한 의료지원 강화와 5개 의료원을 지역거점 공공의료기관으로 육성하는 방안도 주요 과제에 포함됐다.
강원도 관계자는 "의료자원이 도시에 집중돼 지역 간 불균형이 심하다"며 "이번 공공보건의료 발전계획은 의료 취약지역에 대한 획기적 개선으로 도시와 농촌 간 건강 격차를 줄이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