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감 예방접종, 임산부‧만성질환자 지원 필요
최종수정 2018.05.29 09:54 기사입력 2018.05.29 09:54 댓글쓰기
데일리메디 홈뉴스의원/병원

독감 예방접종 국가 지원으로 노인과 소아의 접종률은 크게 개선됐지만 임신여성과 만성질환자는 여전히 저조하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서울대학교병원 국제진료센터 임주원 교수팀은 최근 10년 간 국내 인플루엔자 예방접종률 현황 분석결과를 29일 발표했다.


연구에 따르면 노인과 소아에서는 예방접종률이 75%에 육박한 반면, 임신여성과 만성질환자는 30%안 밖으로 상대적으로 저조한 모습을 보였다.


국내에서는 1997년부터 국가필수예방접종 프로그램에 저소득층 노인에 대한 인플루엔자 접종 지원이 포함됐고, 2005년부터는 65세 이상 노인 전체까지 범위가 확대 됐다.


하지만 건강보험 재원 한계로 여전히 지원이 필요한 대상이 남아있는 실정이다.


이번 연구는 국내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현황을 살펴보고, 지원 대상자 선정에 있어 정책적 도움을 제시하기 위해 이뤄졌다.


연구에서는 국민건강영양조사 대상자 6만1036명 자료를 비교 분석했다. 대상자들을 사회인구학적 요인에 따라 나누고 각 분류별 인플루엔자 예방접종률 차이를 검토했다.


연구결과 해당기간 동안 총 대상자들의 인플루엔자 예방접종률은 38.0%에서 44.1%로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추이를 보였다.


성별에 있어서는 남성 38.0%, 여성 42.7%로 여성이 높게 나타났고, 거주지역별로는 도시 38.2%, 비도시 49.3%로 시골지역이 높게 나왔다.


소득별로는 최저소득군 39.2%, 하위소득군 40.1%, 중위소득군 40.6%, 상위소득군 42.0%로 소득수준에 따라 비례하는 모습을 보였다.


교육수준에 있어서는 9년 이하 53.7%, 10-12년 26.8%, 13년 이상 27.6%로 교육기간이 짧은군에서 높은 접종률을 보였다.


연구에서 65세 이상 노인과 5세 미만 어린이는 2010년 WHO가 권장한 인플루엔자 예방접종률인 80%에 가까운 수치를 보였으나, 만성질환자와 임산부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 같은 결과는 국가필수예방접종 대상자에 만성질환자와 임산부가 포함되지 않기 때문이라고 연구진은 분석했다.


임주원 교수는 “향후 효과적인 국가백신 정책을 위해서는 임신여성과 천식, 당뇨병과 같은 만성질환자에 보다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적용범위를 임신여성으로 확대할 경우에는 큰 부담이 없으나 만성질환자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예산의 추가 확보가 필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대진 기자
관련기사
댓글 0
답변 글쓰기
캡차
0 / 2000
메디라이프 / 오피니언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