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아산, '간호·간병 통합서비스' 본격화
최종수정 2018.05.29 12:15 기사입력 2018.05.29 12:15 댓글쓰기
데일리메디 홈뉴스의원/병원

서울아산병원(원장 이상도)이 간이식이나 대장암과 같은 중증환자의 간병비 부담을 줄이고 의료서비스 질(質) 강화를 위해 최근 '간호‧간병 통합서비스 병동' 개소식을 갖고 본격 운영에 들어갔다.


간호‧간병 통합서비스는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보호자나 개인 간병인 없이 전문 간호 인력이 환자의 간호와 간병까지 책임지는 서비스로 간병비 부담을 절반 이상 줄이고 체계적인 감염관리가 이뤄질 수 있도록 한 환자 중심 의료서비스다.
 

병원은 지난 4월 45병상 규모의 외과계 병동 한 곳(대장항문외과, 간이식‧간담도외과)을 시작으로 28일부터는 내과계 한 개 병동(소화기내과, 50병상)도 추가해 총95병상 규모의 간호‧간병 통합서비스를 본격 확대 시행하기 시작했다.
 

현재 상급종합병원은 최대 2개 병동까지만 간호‧간병 통합서비스 도입이 가능하다.

중증 환자 비율이 높은 아산병원은 보다 전문적인 간호가 필요한 환자들에게 질 높은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적합한 병동 선정 단계부터 신중을 기했다.


 

환자 안전은 물론 각 병동의 인력 및 병실 구조 등 여러 부분을 고려한 끝에, 병원은 보호자와 간병인의 상주율이 높은 병동 중에서 65세 이상 고령 환자와 고난도 수술 비율이 높은 내‧외과 각 1개 병동씩을 선정했다.
 

지난 4월 서울아산병원에서 아내에게 본인의 간을 기증하고 간호‧간병 통합서비스 병동에 입원한 60대 조 씨는 "다행히 간병인이 필요 없고 간호사 선생님이 24시간 내내 돌봐주는 병동에 입원할 수 있어 걱정이 크게 줄었다"며 "아내와 제가 둘 다 입원해야 하다 보니 간병 부담이 꽤나 컸다"고 말했다.
 

현재 해당 병동에는 환자 생체정보를 지속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중앙 모니터링 시스템을 비롯해 환자의 낙상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낙상감지시스템이 마련돼 있다
 

특히 각 병상마다 낙상 위험 감지 및 즉각적 수신이 가능한 낙상감지센서가 설치돼 있어, 환자가 병상에서 벗어나는 움직임이 감지될 경우 카메라 영상을 통해 환자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박승일 진료부원장은 "간호‧간병 통합서비스를 통해 환자와 보호자, 가족 구성원 전체가 간병으로 인한 경제적, 심리적 부담을 조금이나마 덜 수 있길 바란다"며 "다양한 시스템 개선을 통해 환자 안전과 의료의 질을 꾸준히 향상시키겠다"고 밝혔다. 

정숙경 기자
관련기사
댓글 0
답변 글쓰기
캡차
0 / 2000
메디라이프 / 오피니언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