政, 원격의료·스마트헬스 규제 개선 예고
최종수정 2018.10.25 11:12 기사입력 2018.10.25 11:12 댓글쓰기
데일리메디 홈뉴스의료기기/IT
[데일리메디 한해진 기자] 모호했던 '의료행위'에 대한 유권해석이 강화되고, 비의료기관이 할 수 있는 건강관리서비스 범위가 규정될 예정이다.

정부는 24일 김동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주재하는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새로운 시장 창출 효과가 큰 스마트 헬스케어 분야 규제를 완화 방침을 발표했다.

현행 의료법은 의료행위를 '의료인이 하는 의료·조산·간호 등 의료기술 시행'으로 규정하고 있어 비위료행위가 무엇인지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는다. 이에 웰니스 차원의 스마트 헬스케어 서비스 개발이 제한된다는 지적이 있었다.
 
이에 정부는 의료법상 의료행위 유권해석을 강화하고, 비의료기관이 할 수 있는 건강관리서비스 범위를 규정하는 매뉴얼을 마련키로 했다.
 
또 인공지능(AI) 등 최신기술을 도입한 혁신·첨단 의료기기에 별도 평가체계를 적용해 신속 진입을 돕고 보상체계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따라 기존 연구 근거가 부족해 신의료기술로 인정받기 어려웠던 장비들의 시장 진입 활성화를 기대하고 있다.
 
이 밖에 현행 의료법상 허용되고 있는 의사와 의료진 간 원격협진을 확대하고 건강보험 수가 체계를 마련해 활성화를 도모할 계획이다.
 
그러나 의사와 환자 간 원격진료 분야는 포함되지 않았으며 도서벽지 등 의료 취약 지역 치매·장애인·거동불편 환자로 적용 대상을 제한해 기존과 크게 달라지는 점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이를 위해 이달 초 민관합동 태스크포스(TF)를 가동했으며 올해 안으로 추진전략을 발표할 방침이다.
 
기재부 고형권 1차관은 "혁신성장을 가속화하고 일자리 창출을 지원하기 위해 규제혁신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며 "관계부처와 많은 협의를 통해 결정한 사항"이라고 밝혔다.
한해진 기자
댓글 0
답변 글쓰기
캡차
0 / 2000
메디라이프 / 오피니언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