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메디 한해진 기자] 기초과학연구원(IBS)이 나노입자연구단 김대형 부연구단장(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과 현택환 단장(서울대 석좌교수) 공동 연구팀이 높은 신축성과 전도성을 띠면서도 인체에 독성이 없는 고무를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전기신호를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장점으로 신체 삽입 의료기기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해당 전도성 고무는 금-은 나노와이어와 고무 성분인 SBS 엘라스토머의 조합으로 만들어졌다.
금-은 나노복합체는 피부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전기 신호를 측정해 신체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데 사용된다. SBS 엘라스토머란 열과 압력으로 가공하기 쉬우며 잘 늘어나는 합성수지다.
기존 은나노와이어는 전도성이 높아 각광을 받았지만 독성이 있어 인체 삽입과 같은 활용은 어려웠다.
이에 연구팀은 은나노와이어에 금을 입혀 독성을 차단하고 내구성을 갖추도록 했다. 동물실험 결과 해당 복합체는 돼지의 심장을 감싸 심장 변화 모니터링 및 전기 자극 등의 작업 수행에 성공했다.
해당 복합체는 최대 840%까지 늘어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기신호 전달도 가능해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의료기기 등의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김대형 부연구단장은 “이번에 개발된 금-은나노복합체는 고전도성, 고신축성, 생체 친화성 등의 특징을 갖춰 앞으로 바이오메디컬디바이스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 성과는 ‘네이처 나노테크놀로지(Nature Nanotechnology)’ 온라인 판에 14일(한국시간) 게재됐다.
![](https://dailymedi.com/dmedi/img/nimg/logo.gif)
한해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