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청기 지원건수·건보 지원금 급증 속 어두운 단면
최종수정 2018.07.20 12:03 기사입력 2018.07.20 12:03 댓글쓰기
데일리메디 홈뉴스의료기기/IT

[데일리메디 정숙경 기자] 일부 보청기 대리점들이 제대로 된 청력평가 없이 보청기를 판매하거나 우후죽순 제품을 출시하면서 전국 최저가를 온라인상에서 광고하는 등 피해가 여전하다는 지적이다.
 

국내 보청기 시장이 해마다 성장을 거듭하고 있지만 편의성을 내세우는 등 소비자들의 피해사례 역시 빈번하게 발생하는 실정이다.


최근 최도자 의원(바른미래당)이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제출 받은 ‘최근 5년간 보장구별 급여건수 및 금액’ 자료에 따르면 보청기 지원건수는 2013년 1만5000건에서 2017년 5만5000건으로 3.5배 늘어났다.


전체 장애인 보장구 지원 중 보청기가 차지하는 비중도 2013년 13% 수준에서 2017년 60.6%로 동 기간 대비 큰 폭으로 상승했다.


하지만 우려스런 부분도 적지 않다.

19일 A보청기 업체 관계자는 “검증되지 않은 부품을 사용한 보청기를 저가로 유통시키거나 음성증폭기와 같은 유사 보청기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고 전했다.


단순히 소리만 증폭시키는 공산품인 음성증폭기는 정상적인 가청영역까지 손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청력검사와 청력에 대한 정확한 평가 없이 온라인에서 판매되는 유사 보청기에 대해서여전히 시장을 혼란스럽게 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인구 고령화에 따른 노령난청인구 증가로 보청기에 대한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는 여론에 따라 지난 2015년 11월부터 보청기에 대한 지원금액이 34만원에서 113만원으로 인상됐다.


2013년 42억원이던 보청기에 대한 건강보험공단의 지원금이 2017년 645억원으로 5년 새 15배 이상 증가하면서 유사 보청기 역시 더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때문에 무분별한 보청기 판매 및 불법적인 보청기 판매 금지를 위한 개선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업계 관계자들은 목소리를 높인다.


실제 보청기를 구매하지 않고 보장구 서류를 허위로 작성해 보청기 업체가 지원금을 받거나 업체와 구매자가 지원금을 나누어 가지는 사례가 대표적이다.


인터넷 쇼핑몰 전용 판매가 점점 늘어나면서 더욱 빈번하게 이뤄지고 있다.  
 
B보청기 업체 관계자는 "직접 보청기 센터를 방문하지 않고 청각관리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고 하거나 언제, 어디서나 소리 조절 및 보청기 클리닝이 가능하다고 광고하지만 제대로 된 청력검사 측정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지마켓, 롯데닷컴 등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되는 제품 중 구입 전에 청력측정 검사를 해야 한다는 안내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심각성을 전했다.


보청기 서비스에 대한 불만이 여전한데다 미끼 상술로 인해 윤리적이지 못한 상황에 직면하는 등 인터넷을 통한 보청기 구입 방식에 대해 되돌아 봐야 한다는 의견이 계속해서 나오고 있다.


식약처 조사 과정에서 무허가 제품이 적발되는가 하면 인터넷 쇼핑몰에서 판매된 보청기로 판매업체가 고발 조치되거나 제품이 압류·폐기 조치되기도 했다.


물론, 지방에서 보청기 사용을 원하는 이들의 경우, 구매 전 직접 체험이 쉽지 않다는 점은 존재한다. 그럼에도 피팅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피팅은 보청기 착용 후 효과와 착용 상태, 불편사항 등을 확인하고 조정하는 과정을 말한다.
 

B업체 관계자는 “비교적 가격이 싼 인터넷 쇼핑몰 등을 통해 별도의 청력 측정없이 보청기를 구입하는 것은 위험하다”며 “보청기 피팅은 면대면으로 이뤄져야 하는 것이 원칙”이라고 거듭 말했다.

정숙경 기자
관련기사
댓글 0
답변 글쓰기
캡차
0 / 2000
메디라이프 / 오피니언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