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재확산 인력 대란···간호간병서비스 탄력 운영
최종수정 2020.12.21 12:57 기사입력 2020.12.21 12:57 댓글쓰기
데일리메디 홈뉴스의원/병원
[데일리메디 박대진기자] [데일리메디 박대진 기자] 코로나19 재유행에 따른 의료인력 부족 문제가 심화되면서 정부가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중단 카드까지 꺼내 들었다.
 
감염병 진료현장에 투입될 간호인력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만큼 간호사 비중이 높은 간호간병통합서비스를 잠시 멈추고 코로나19 진료현장에 배치토록 한다는 복안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최근 일선 병원들에게 공문을 보내 코로나19 비상상황 대응 간호간병통합서비스 기준 한시적 조치사항을 안내했다.
 
코로나19 재확산으로 감염환자 치료 및 방역을 위해 의료기관 역량을 집중할 수 있도록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운영에 융통성을 발휘한다는 게 핵심이다.
 
선별진료소 운영기관 코로나19 전담병원 국민안심병원 확진자 진료병원 등 어떤 방식이든 코로나19 확진자 치료 및 방역활동에 참여 중인 병원이 대상이다.
 
해당 병원들이 코로나19 확산 방지 활동을 위해 간호간병통합병동을 일시 중단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종료 후에는 별도 심사 없이 재운영토록 했다.
 
뿐만 아니라 병원장에게 인력운영에 대한 재량권을 부여하기로 했다. 병원장은 간호간병통합병동 지정기준에 해당하는 인력의 30% 범위 내에서 코로나19 진료현장에 배치할 수 있다.
 
특히 병원들이 감염병 환자 치료와 방역에 집중할 수 있도록 병동인력 운영현황에 대한 신고를 당분간 유예키로 했다.
 
유예기간 중 미신고건은 상황 종료 후 2개월 이내에 신고해야 하며, 2개월이 지나도록 신고를 하지 않을 경우 성과평가 인센티브에 반영할 예정이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 관련 한시적 조치사항은 오는 2021315일까지다.
 
한편, 코로나19 사태가 악화일로에 접어들면서 병상은 물론 의료인력이 부족해 방역당국을 고민을 키우고 있다. 가장 초조한 곳은 확진자 발생이 집중되고 있는 수도권이다.
 
서울시는 최근 퇴직 간호사들에게 협조를 구했다. 선제검사로 인해 검사량이 확대되고 생활치료센터 운영 등 공공의료체계 확대를 위해 추가적인 의료인력 지원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서정협 서울시장 권한대행은 검사량 확대와 생활치료센터 운영 등 공공의료체계 전반의 역량을 확대하기 위해 의료인력 지원이 반드시 전제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현재도 5014명의 의사와 간호사가 현장에 투입돼 있지만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탈진 직전에 이른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서 권한대행은 의사, 간호사 중 은퇴·휴직으로 봉사가 가능한 사람이 있다면 다시 한번 현장으로 복귀해 주길 바란다고 읍소했다.
 
경기도 역시 코로나19 확진자 속출로 병상과 현장 의료인력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의료인들의 지원을 요청했다.
 
임승관 경기도 코로나19 긴급대응단장 병상 확보와 함께 시급한 문제는 의료진이라며 치료공간도 중요하지만 그 곳에서 직접 환자를 치료할 의료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3차 유행이 걷잡을 수 없이 커지면서 의료진이 다시 코로나19 최전선으로 향하고 있다.
 
대한간호협회가 최근 수도권 선별진료소 근무 및 코로나19 환자 치료 등을 위한 간호사 긴급 모집을 실시한 결과 1744명이 지원했다.
 
수도권 임시 선별진료소 근무를 신청한 간호사는 296명이고, 코로나19 환자 치료 등에 파견을 희망한 간호사는 1448명이다.
 
대한의사협회에도 800명의 의사가 현장 지원을 신청했고, 300명이 넘는 의대생도 의료봉사 의사를 밝혔다.
박대진 기자
댓글 0
답변 글쓰기
캡차
0 / 2000
메디라이프 / 오피니언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