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메디 양보혜 기자] 차의과학대 분당차병원(원장 김재화) 이비인후과 김소영 교수는 골다공증 환자가 정상인에 비해 돌발성 난청 위험도가 1.56배 높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김소영 교수는 골다공증으로 진단받은 50세 이상 환자 6만8241명과 연령, 성별, 경제적 수준, 거주지 등을 동일한 조건으로 정상 대조군 6만8241명을 설정한 후 골다공증환자의 돌발성 난청 위험도를 분석했다.
연구 결과, 50~60세 미만 골다공증 남성의 돌발성 난청 위험도는 정상인 대비 2.73배로 여성의 1.34배 보다 높았다.
여성 골다공증 환자는 정상인에 비해 ▲60~69세는 1.67배 ▲70세 이상은 1.90배 높은 돌발성 난청 위험도를 보였다.
골밀도가 낮아진 골다공증 환자는 달팽이관을 둘러싸고 있는 뼈 구조인 이낭(otic capsule)이 분해돼 청력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김소영 교수는 “이번 연구는 골다공증 및 돌발성 난청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구학적 특성들과 만성질환들의 영향을 보정해 얻어진 것으로 난청 치료 및 예방에 있어서 골다공증의 관리의 중요성을 알려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The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 Metabolism' 8월호에 게재됐다.